농산품 신선하고 가격도 저렴하지만 주차·배송·결제 등 불편 해소되어야 


서울시가 전통시장 살리기를 위해 발벗고 나서고 있지만 정작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뒷짐만 지고 있어 현장의 불만이 높다.

장을 보기 위해 홈플러스 금천점을 찾은 김씨 부부(30대)는 전통시장에 있는 농산품이 신선하고 가격도 저렴한 것을 알고 있지만 주차 때문에 마트에서 장을 본다. 주차가 곤란한 시장보다 너른 주차장에 차를 세워 놓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장을 볼 수 있는 마트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젊은 사람보다 전통시장이 익숙한 70대 노부부도 시장에서는 짐을 들고 다니기가 무겁기 때문에 마트에 온다. 그들은 “시장에서 배달까지 해 주면 정말 좋겠다”고 하였다.

주부 이정애씨는 “전통시장을 꺼리게 되는 단 하나의 이유”로 “카드결제”를 이야기했다. 시장에서는 카드결제가 되지 않거나 되더라도 상인들이 꺼리는 눈치라는 것이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주차와 배송 및 카드결제를 문제로 인식하지만 현장상황은 이를 충족하기에 역부족이다.

남문시장은 2009년에 약 스무 대의 차를 세울 수 있는 고객주차장을 만들었다. 좁은 주차장을 대신해 경차 한 대와 오토바이도 지원받아 배송서비스를 시작했다. 구에서 지원하는 공공근로·희망근로 일자리의 도움을 받아 매일 3회의 배송서비스를 근 1년 동안 가동시켰다. 하지만 그 이후가 문제였다. 일자리의 지원이 줄면서 책임 있게 배송할 수 있는 인력이 없어졌기 때문에 지원받은 차량과 오토바이는 지금까지 자리차지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남문시장상인 조합 고우석 이사장은 “전통시장을 살리겠다고 아케이드 보수, 행사, 대형마트 영업일 규제, 명절이벤트 등으로 지원하는 것도 좋지만 정작 필요한 것은 시장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며 “장을 본 소비자가 카트에 담아온 것을 1~2시간 간격으로 배송하는 시스템이 운영되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는 배송을 담당할 전담인력이 없다는 것. 고 이사장은 “연간 인건비로 3천 만원 정도 지자체가 지원해주면 나머지는 자체로 조달해 운영할 수 있는데, 서울시는 ‘인건비 지원은 불가하다’는 입장만 고수하고 카트는 관리를 이유로 지원해주지 않는다”며 “서울시는 배송을 위해 전통시장에 배달 차량을 지원했다고 얘기하겠지만 사용하지도 못하는 차량은 생색내기에 불과하다”고 잘라 말했다. 

카드결제도 현실에서는 남의 일에 불과하다. 현재 간이과세자의 과세표준액은 연간 매출 4천 8백만원이다. 하루 매출이 13만원 미만일 경우에만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대부분 간이과세자인 시장 상인들은 카드결제를 도입하면 일반과세자로 변경해야 하는 업자가 많다. 일반과세자가 되었을 때 매일 매출을 정리해야 하는 것도 상인들에게는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러한 현실적 요건이 시장상인들이 카드결제로부터 등을 돌리게 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고 이사장은 “어차피 세수를 못 받는 것은 마찬가지 아닌가? 

기왕 전통시장 활성화를 지원하는 것이라면 한시적으로 주민번호만으로 카드 단말기를 설치할 수 있는 제도 등 전통시장 상인을 별도로 관리해 달라. 한시 기간이 끝나면 자연스럽게 세금을 낼 것이다”고 제안했다. 

이처럼, 물건배송과 카드결제 두 가지 문제를 차치하고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이야기 하는 것은 ‘앙꼬 없는 찐빵’을 먹는 것과 다름없어 보인다.





김수진 기자

gcinnews@gmail.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