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매점 협동조합 학부모·교사들이 나선다

독산고 건강매점 협동조합 창립총회

 

 

[사진제공 : 독산고등학교]

 

관내 학교 중 처음으로 학부모와 교직원이 학교매점 운영에 공동참여하는 학교매점 협동조합이 출범했다.

 

지난 830일 오후 330분 독산고등학교(교장 김홍섭) 자율관 3층 제2 외국어교실에서는 독산고 건강매점 협동조합(이사장 강혜승)’창립총회가 개최됐다.

 

창립총회에는 총23명의 조합원 중 17명의 조합원과 협동조합 출범을 축하하기위해 찾은 구로영림중 학부모 회장을 비롯한 외부인사 1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창립총회에서는 자주적·자립적·자치적인 협동조합 활동을 통하여 구성원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 친환경먹거리 제공, 먹거리 교육을 바탕으로 한 매점을 운영하여 지역사회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는 정관과 2013년 사업계획안이 승인됐다.

 

이사장으로 독산고 학부모 강혜승 씨가 선출됐다. 강 이사장은 인사말에서 협동조합은 단순히 이익을 추구하는 회사차원이 아니고 사람들 간의 관계를 어떻게 만들어가고 사람들의 마음을 모으느냐가 가장 중요다아이들에게 독산고 학부모로서 건강한 먹거리와, 우수한 식재료를 제공하면서, 더불어 지역사회와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발기인 대표 강지희 씨는돈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의 모듬이어야 한다. 강 이사장이 얘기한 것(사람의 마음을 모으는 것)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 학부모, 학생, 교사가 얼마나 협동해서 도와주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하며 처음에는 힘들겠지만, 우리의 마음과 마음이 전달 전달되면 훌륭한 발전이 되지 않을까라고 조합원들에게 바람을 전했다.

 

독산고 김홍섭 교장은 협동조합 7원칙에 대해 설명하며 협동조합의 가치와 원칙을 살려 건강매점을 잘 이끌어 가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이날 창립총회는 어른들만의 잔치는 아니었다. 건강매점을 이용하게 될 학생들의 우려와 격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독산고 학생회장 서정서(2) 군은 건강매점에 대해 학생들이 잘 모르고 있다고 지적하며 친환경 제품을 판매하면 가격이 좀 비싸지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용돈이 부족한 학생들의 마음을 대변했다.

 

학생회 부회장 백지윤(2) 양은 그래도 친환경 이라고 하니 몸에는 좋을 것 같다건강매점이 빨리 생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독산고 건강매점은 올 10월 매점 입찰공고가 나면 10월 입찰을 받아 계약이 이루어지면 11월부터 운영 될 것 같다. 건강매점에서는 탄산음료, 커피, 고칼로리 음식을 지양하고 지역 생협과 연계해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우리밀 빵이나, 과자 등 건강한 먹거리로 대체 할 예정이다. ,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캠페인을 벌여 먹거리 인식 전환에 힘쓸 예정이다.

 

설탕 덩어리 탄산음료와, 싸구려 햄버거 등 정크푸드에 병든 학교매점이 이번 독산고 건강매점 협동조합을 계기로 건강하고 안전한 학교매점이라는 인식 변화와 인근 학교매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협동조합연맹(ICA) 7대 원칙

 

1. 자발적이고 공개적인 조합원 제도(Voluntary and open membership)

   성, 인종, 종교, 정파, 사회적 신분 등에 있어 차별을 두지 말고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어야 한다.

2.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운영(Democratic member control)

   조합원들이 출자금액에 관계없이 11표의 의결권과 선거권을 갖는다.

3. 조합원의 경제적 참여(Member economic participation)

   출자에 공동으로 참여하며,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관라한다. 협동조합은 잉여금이 발생하면 반드시 일정액 이상을 적립하여 공동재산으로 두어야 하고, 나머지 금액은 조합원들에게 배당 할 수 있다.

4. 자율적 독립(Autonomy and independence)

   자율적이고 자조적으로 조합원에 의해 관리되며, 만약 외부와 약정을 맺거나 자본을 조달할 경우 우선적으로 조합원의 민주적 관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5. 교육, 연수 및 정보제공의 촉진(Education, Training and information)

   조합원과 임직원들이 협동조합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여야 하며,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협동조합의 취지와 장점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6. 협동조합 간의 협동(Co-operation among Co-operatives)

   세계경제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루며 통합되어 가고있는 현실에서 협동조합 간의 연대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7.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Concern for community)

   조합원과 조합원만의 이익추구 뿐만 아니라 조합이 소속되어 있는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노력을 함으로써, 사회, 경제, 환경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사회적 책임을 공유하여야 한다.

 

 

남현숙 기자

kasizzan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