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호  2014. 10.27~11.16)

지난 14일 열린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 국정감사 증인 질의에서 전순옥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마리오 아울렛의 로비성 특혜 의혹과 입점업체에 대한 일방적 계약해지, 시설관리팀 직원들의 권고사직 등 지위와 권력을 남용한 이른바 갑질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명절선물리스트, 로비성 특혜의혹


로비성 특혜 의혹과 관련해 논란의 발단이 된 것은 2001년 마리오아울렛이 아파트형 공장으로 산단공과 계약을 체결한 데서부터 출발한다. 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아파트형 공장에는 판매장과 같은 지원시설을 20%까지 밖에 둘 수 없다. 이 같은 사실로 마리오는 산단공과 법정공방 중에 정부의 규제해제가 발표 되면서 불법시비가 한순간에 해소됐다. 규제가 해제된 배경으로 로비의혹이 불거져 나온 것이다. 전 의원은 “2001년부터 불법판매, 규정위반 제품판매 등을 계속 하고 있었다. 그러다 2007년 7월 산단공으로부터 입주계약해지 통보를 받았다. 이후 바로 소송을 제기해 1심과 2심에서 모두 패소를 했다. 2008년 12월 말 상고를 했는데 상고심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정부지원시설확충계획안이 발표되었다. 소송쟁점에 있었던 불법판매를 합법적인 유통사업으로 허용하는 계획안 이었다. 상고심 결과와 상관없이 전격적으로 전면 유통사업이 가능하게 된 조치였다”며 “누가 봐도 마리오를 위한 조치라 할 정도로 세간에서 말할 정도였다. 그 배경에 마리오의 로비와 특혜성 조치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마리오 아울렛 홍성열 회장은 “로비나 특혜는 생각을 못했다. 지인들한테 명절 때 조그만 정을 표시해서 선물을 했다. 선물과 특혜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부정했다.

전 의원은 “(명절선물)리스트를 보면 정관계 언론이 모두가 다 들어가 있다. S급 40명 현직 국회의원, 검찰 및 법원, 지자체장들이다. A급 50명은 전직의원과 관료 언론이 들어가 있고, B급 60명, C급이 90명이다. 이렇게 등급을 만들어 놓고 명절마다 선물을 보냈다. 이게 특혜의혹이 아니라고 부정할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회사금고의 사금고화 및 권력남용 갑질


이밖에도 전 의원은 홍 회장이 “고배당율로 자신의 이익을 채우고 회사의 금고를 사금고처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에 따르면 홍 회장은 마리오 아울렛의 주식을 99%를 소유한 대 주주로, 지난 3년간 배당금액만 65억 여 원을 챙겼다. 또 연간 30억 원 이상의 흑자를 기록하는 마리오 아울렛에 돈을 빌려주고 차입금에 대한 이자로 5억1천 만 원과 임차료 2억8천 만 원을 챙겼기 때문이다.

또한, 입점업체에 대한 일방적 계약해지와 시설관리팀 직원들의 권고사직 등 부당노동 행위에 대한 지적도 제기됐다. 전 의원은 “1999년 마리오가 산업단지공단에 입주이후부터 받은 세제 혜택은 11억2천700만원이나 된다. 그렇게 혜택은 받으면서도 2013년 6월 마리오에 입점한 27개 패선 중소기업들에게 일방적 계약해지를 통보했다”며 “지위와 권력을 남용한 불공정거래행위, 소위 갑질에 해당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직원이 반으로 줄고, 이직률이 130%나 되는 점, 지난 2월에는 시설관리팀 직원 21명을 권고사직한 것을 꼬집으며, “대기발령, 단순직무 등으로 계속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 의원의 이같은 비난에 홍 회장은 “일방적으로 통보 한 게 아니고,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공문을 보냈다. 또, 업종상 단순 아르바이트가 많다. 금년도 패션사업부문에서 까르뜨니뜨 브랜드를 전국 백화점에서 철수하면서 인원이 많이 줄었다”고 해명했다.

홍 회장의 답변에 전 의원은 “위증을 하고있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전 의원은 “고용노동부 자료에 의하면 현재 179명은 모두 정규직 이고,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2명 뿐이다. 정규직이 아니라고 위증을 하고있다”고 말했다.

조경태 의원(새정치민주연합)도 “현재 정규직 120여명 이다. 2012년 자료 240여명을 기준으로 하면 반토막이 났다. 또 5년이상 장기근속자가 10명도 안 된다”며 전 의원의 지적에 보태어 말하며 “자칫하면 악덕기업자로 오인 받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질의를 마치며 전 의원은 홍 회장에게 “부당노동 행위를 중단하고 노동조합과 직접대화를 할 것”을 제언했다.

남현숙 기자

kasizzan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