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누나> 오카 슈조 지음/ 웅진책마을
<우리 누나>
오카 슈조 지음/ 웅진책마을
이 책에는 6개의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장애를 갖고 있는 아이들의 이야기입니다. 이 책이 특별하다고 생각한 건 <장애>라는 것을 저 쪽에 두고 그것을 바라보면서 이야기 하는 형식이 아닌 바로 우리 생활 속에 있는 장애아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겁니다.
흔히 그동안 보았던 장애 관련 책들은 모든 걸 초월한 영웅들의 감동 스토리 아니면 장애를 가졌지만 마음이 착한(?) 아이들 같은 틀에 박힌 인물들이 나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늘 불쌍하게 바라보고 늘 도와주어야 하기 때문에그들과 실제 친구가 되기란 어려운 일이 되고 말죠.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다 착한 건 아닙니다. 그건 장애를 갖지 않은 아이들이다 착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신체의 장애 뿐이라고 말은 하지만 마음의 장애도 갖고 있습니다. 쓰라린 일이 많기 때문이죠.
이 책은 이제 장애를 갖고 있는 아이들을 그저 평범한 아이로 봐주기 바랍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게 아니죠. 사실 어떻게 평범하게 보겠습니까? 작가와 편집자는 그 이야기를 뒤에서 하고 있습니다. 사실 모든 사람에 가장 중요하고 중심이 되는 것은 <자기 자신>이라고 합니다. 그것을 인정한다면 장애를 가진 아이들도 그렇다는 것은 인정해 달라는 것입니다.
<잇자국>에서 자신을 괴롭히는 아이들을 있는 힘을 다해 저항하던 <그 녀석>은 달리 성격이 까칠하거나 똘똘해서가 아니라 자기를 지키고, 자기를 세상의 중심에 놓는 당연한 마음이었기에 상대방을 물고 거짓을 밝히는 일을 한 것입니다. 슬프게도 그의 이런 행동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자기 자신>을 지키는 일은 장애인이건 아니건 중요한 일입니다.
방송이나 신문기사, 그리고 몇몇 책에서 보게 되는 <훌륭한> 장애인들을 그만 생각하고 우리 이웃에 있는 평범한(?) 장애인들을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어떻게 보고 도와줄 것인가도 물론 중요하지만 어떻게 함께 살아나갈 것인가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여기에서 또 권정생 선생님의 말씀이 생각납니다. " 우리를 불편하게 만드는 책이 훌륭한 책이다.." 정말 옳은 말씀입니다.
.
|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우리말) 우리누리 글/ 심심스쿨 그림/ 길벗스쿨/ 우리가 생활하면서 자주 쓰는 낱말들의 뜻과 생겨난 이야기를 네 칸 만화와 함께 즐겁게 볼 수 있는 책이다. 하나씩 읽다 보면 우리 아이들의 어휘도 부쩍 자라지 않을까? |
|
안녕, 나의 별
|
|
생각의 좌표 홍세화 / 한겨레출판 우리 사회가 자유롭고 평등한, 건강한 사회로 나가기 위해 개인들은 자신이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인식해야 자신의 할 일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이 책은 현재 대한민국 현실 속에서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찾게 해주는 책이다 |
책읽는어른 '함박웃음' 13기 신입회원 모집
4월 11(월)에 기본 교육 첫강이 실시됩니다.
책을 읽고 나누고 싶은 분 누구나 참여 할수 있습니다. 참여 신청은 은행나무 도서관으로 해주세요/ 은행나무어린이도서관 892-7894
'탐방 기고 > 은행이의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이의 책이야기- 손도끼 (0) | 2011.06.06 |
---|---|
은행이가 들려주는 책이야기 (0) | 2011.05.17 |
은행이가 들려주는 책이야기 -나무- (0) | 2011.03.24 |
바라우미 여우 초등학교 /시튼 동물기1 (0) | 2011.02.22 |
은행이가 들려주는 책이야기 '바람의 딸 샤바누' (0) | 201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