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교과서는 금천이 제일!

26일 남부교육지원청 금천,구로,영등포 마을교과서 제작보고회 개최



  26일 3시30분 교육지원청(교육장 김용수) 강당에서는 마을교과서 제작보고회가 개최되었다. 초등 3학년 사회는 ‘우리가 살고있는 마을’을 배운다. 그러나 사회교과서는 전체를 아우르다 보니 지역의 특성을 담은 내용이 없다. 그래서 “우리 고장의 생활”을 교육지원청에서 발간해서 마을학습자료로 활용해 왔다.

  금천구의 경우 “우리 고장의 생활”에는 금천구 이외에 구로구와 영등포구의 내용이 함께 실려 있다, 남부교육지원청이 구로 금천 영등포를 관할하다 보니 3개 구의 내용이 함께 실어야 했다. 그러다 보니 우리동네를 가르치는데 자료가 늘 부족해서 가르치는 교사도 힘들었고, 배우는 학생들도 힘들어 했다.

  금천구의 경우 2015년부터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일환으로 마을에서 “마을교과서” 만들기 사업을 시작했다. 첫해에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초등3학년 교사용지도서 ‘여기 사는 내가 좋아’”를 발간하였다. 2016년도에는 학생들이 배우는 마을학습자료 “여기 사는 내가 좋아”를 발간하였고, 올해 처음으로 초등3학년 모든 학생들이 마을학습자료를 활용해서 우리 동네를 배우기 시작했다. 

  금천구의 마을학습자료 “여기 사는 내가 좋아” 사례가 알려지면서 남부교육지원청이 나섰다. 금천구 초등3학년 학생은 사회시간에 사회교과서, 우리고장의 생활, 여기 사는 내가 좋아 3권을 통해 배우는 불편함이 있었고, 구로와 영등포 학생들은 우리 고장의 생활과 사회교과서로 배우는 상황이었다. 남부교육지원청은 부족한 예산은 구청과 협의 해서 만들고, 자치구에서는 마을 주민을 모으고 교육지원청에서는 교사를 조직해서 편집위원회를 구성했다.

  금천구에서는 6명의 교사와 4명의 마을활동가가 참여했으며 사)마을인교육이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편집위원회는 지난 3개월 동안 10번의 편집회의를 통해서 교과서를 만들었다. 작년에 교과서를 만들었는데도 내년부터 교육과정이 개편되면서 새롭게 집필방향을 정하고, 교사와 마을활동가가 함께 조를 나누어서 분단별로 집필했다.

  김용수 교육장은 첫째로 전구에서 처음으로 자치구별로 마을교과서를 만들었고, 둘째로 교사와 마을주민이 함께 제작에 참여했고, 셋째로 초등교육과와 교육지원과가 부서를 넘어서 함께 제작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있는 사업이라며 앞으로 학생들에게 사랑받고 애향심과 창의성, 인성을 키우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원했다.

  금천구 마을교과서 제작을 이끈 오현애(교육나눔협동조합) 이사장은 “금천구를 넘어 3개구에서 마을교과서를 만들어서 보람을 느낀다. 회의를 시작할때는 보통 2시간이면 끝나길 바랬지만, 진행하다 보면 사방이 어두워질 때까지 집필에 참여한 교사와 마을활동가에게 감사 한다”고했다. 

26일 발표한 제작 보고한 마을교과서는 1차 수정안이다. 1월 말까지 두세차례 수정을 거쳐서 2월에 최종 발간할 예정이다.


최석희 기자

nan7615@gmail.com

내년도 초등3학년 마을교과서로 배운다

마을공동체

 

지난 1123일 금천구청 평생학습관에서는 금천혁신교육지구 초등학생용 마을교과서 여기 사는 내가 좋아중간보고회가 열렸다. 보고회에는 관내 초등학교 3학년 교사와, 남부교육지원청, 금천구청 교육지원과 관계자와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금천교육네트워크 회원등 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최석희 금천교육네트워크 대표는 대다수의 교사들이 금천구에 거주하지 않다보니, 금천구에 배움이 있는 마을학교, 기관이 어디있는지, 어디에 연락을 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정보를 알지 못해 교육과정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마을교과서를 통해 교사는 마을에 대한 정보도 얻고 마을과 함께하는 교육과정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동네에 대해 정체성과 자긍심이 생기길 기대하는 마음으로 마을교과서를 만들었다. 아무쪼록 학교현장에서 활발히 사용이 되는 마을교과서가 되길 기대한다며 마을교과서 취지를 설명하였다.


오현애 금천교육나눔협동조합 이사장은 마을교과서 제작을 위해 마을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와 교사가 함께 연구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6월이후 매주 한번씩 만나서 초등3학년 사회교과서와 지역교과서를 분석하고 교육 차시를 고려해 꼭 필요한 내용을 간추려 담으려고 노력했다. 오늘 마을교과서를 함 검토하고, 수정하거나 새롭게 추가할 내용을 제안하면 적극 검토해서 반영 하겠다고 했다.


송미숙 문성초 교사는 우리가 살아 가는 곳과 이동과 의사소통 단원을 발제했다. 배옥영 문백초 교사는 사람이 모이는 곳, 우리 고장의 중심지와 변화에 대해서 발제했으며, 김복자 신흥초 교사와 오현애 이사장은 우리지역과 다른 지역, 지명과 이야기 등과 교과서보다 좀더 심화된 내용을 담은 부록을 발제했다.

윤다영 정심초 교사는 인터넷에서 지도를 검색하고 그 지도에 학교와 편의점, 약국, 버스, 영화관, 병원등 주요기관을 표시해서 중심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교육과정을 진행한 경험을 발표했다. 중심지 견학이 어려워서 인터넷 길찾기에서 자동차로 모의주행을 하는 방식으로 견학을 진행한것에 다른 교사들의 관심이 높았다. 이어서 참여한 학교별로 모둠토론을 진행하였다.


대다수의 교사들은 초등3학년 사회교과서 1,2단원 내용은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관한 내용이다보니 교과서가 거의 도움이 안됐고, 금천구와 관련된 사진과 지역정보가 부족해서 어려웠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마을교과서에 대해서는 사진자료와 지도가 많고, 금천구를 신발모양의 그림지도로 표현해서 한눈에 볼 수 있고, 지명에 관한 이야기가 많아 재미있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중심지견학보고서 등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예시들이 많아서 좋다며 대부분 만족스럽게 평가했다.


학생들이 보는 교과서이니 만큼 아이들 눈높이에 비해 다소 글이 많고 어렵다는 교사도 있었지만, 어려운 표현은 교사가 가르치면 되니까 전반적인 기조는 유지해 달라는 교사도 있었다.

마을교과서 연구위원에 참여하는 마을활동가는 강윤희(금천생태포럼), 김은주(청소년진로코칭탐탐), 김복녀(문화예술교육협회)씨가 참여하였으며, 사진은 금천구청 자료사진과 마을신문 금천in과 금구파워블로거 썬도그(사진은 권력이다 박명수)가 촬영했으며, 일러스트는 유연수, 초고편집은 정은용씨 등 지역의 다양한 인적자원들이 함께 참여했다.

금천구마을교과서 여기 사는 내가 좋아는 올해 12월말 시험판이 제작될 예정이며 2017년도에는 관내 초등3학년 모두에게 제작 배포될 예정이다.

 


이성호 기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