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서 증여와 선물로 살아가는 생활체험기-2

  선물(증여)경제의 관계창출론


정월 대보름날 새벽, 잠에서 깨어 주위를 둘러보면 아버지는 김에 참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뿌리고 계셨다. ‘오늘 아침엔 구운 김에 오곡밥을 싸먹고 나물들을 먹겠구나’ 생각하고 다시 잠을 청했다.  

정월 대보름이 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추억이다.  바스락 김바르는 소리,  들기름에 나물 볶는 냄새,  아홉 번 밥 먹고 아홉 가지 나물을 먹는다는 이야기. 귀밝기술, 더위팔기 등이 그립다. 아홉 번을 밥을 먹으려면 동네의 여러 집을 돌아야 그 아홉 번을 채울 수 있다. 어머니 어렸을 적에는 남의 집에 들러 아홉 번 밥먹기를 채웠을지 몰라도 나 어렸을 적에는 밥 먹기 아홉 번까지는 어려웠고 친구 서너 집 정도 찾아가서 오곡밥을 얻어먹을 수 있었다. 지금에는 오곡밥 아홉 번은 먹는 것은 고사하고 자기집에서 오곡밥과 아홉 가지 나물을 다해서 먹는 집도 드물 것이다. 

  보름날 전날 저녁 아홉 가지는 어렵고 네 가지 나물을 했다. 무조림, 콩나물무침, 고사리나물과 이름 모를 나물 한 가지. 이름 모를 나물은 내 이웃이, 자기 다니는 직장에서 전국 팔도사람들 모이는 전국총회에서 충청도사람한테서 받았다는 나물이었다. 마른 나물이 차곡차곡 채워진 양파망 한 망을 나에게 던져준 지가 작년 초겨울이었던가. 이 이름 모를 나물을 볶아놓으니 부드럽기 그지없고 식감도 매우 좋아 나물담은 접시가 비워지는 게 아까울 정도로 맛있었다. 

세 가지 나물을 덜어 담고 팥 삶고 강낭콩, 밤콩 삶아 찹쌀 반 되씩 담아 놓고 가져가라고, 가져가라고 애원해도 다들 바빠서 못 오는 정월대보름 이브. 이러니 밥 아홉 번은 고사하고 한 번도 못 얻어먹을 사람들 쯧,쯧,쯧.  

할 수 없이 대보름날 아침에 일어나 솥적은 솥에 오곡밥 두 솥하여 나물과 함께 두 집에 직접 갖다 줬다. 한 집에서는 “정월보름날 오곡밥과 나물도 먹어보네” 하면서 답례로 구운 김 10봉지를 줬다. 구운 김 10봉지를 들고 오다가 골목입구 미장원집에 들러 1봉지 주고 4봉지는 한 지인에게 줬다. 공짜로 얻은 것들은 원래 내 것이 아니기에 다시 여러 사람과 나눠야한다. 


오곡밥에 넣은 팥이며 강낭콩, 밤콩, 찹쌀은 우리 어머니께서 주신 선물이다. 어머니 또한 팥은 지인에게 찹쌀은 이모에게 받은 것이라고 한다. 선물은 이렇게 피라미드처럼 퍼지고 꼬리를 물고 연결된다. 선물 식재료는 노동력이 첨가되어 더 감동적인 선물로 다른 사람에게 전달된다, 한 집에 주면 세 집이 나눠먹고 답례가 오가고 그 답례가 여러 집을 거치게 된다. 



  화폐의 순환은 신용창출로 통화량이 증가하지만 선물(증여)의 순환은 사람관계와 믿음이 창출된다. 선물(증여)이 전달되는 모든 경로를 알게 되면 자기가 속한 공동체에 대한 믿음이 커지고 공동체에 기여할 것을 스스로 찾는 마음이 생길 것이다. 

선물(증여)가 인간의 따뜻한 마음을 기반으로 유통되기 때문이다. 선물경제의 관계창출론이라고 할까.  화폐는 시간이 가면 이자가 붙지만 선물은 시간이 가면 곰팡이가 붙을 수 있다.  유효기간 내 써야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빨리 넘겨야 하는 것도 있다. 선물은 화폐보다 더 빨리 순환되기도 하고 결국 노화되고 소멸하게 된다. 순환되고 소멸된 자리에는 사람에 대한 따뜻한 기억이 남게 된다. 

  얼마 전부터 증여와 선물로 살아가기 생활체험기를 쓰고 있다면서 동네방네 나팔을 불고 다녔다. 여러 사람들이 트렘폴린, 전자렌지, 딸의 옷을 줄 수 있다고 알려왔다. 나는 다시 동네사람 만나는 자리마다 “전자렌지 안 필요해?  트렘폴린도 있는데. 누가 동글이청소기와 작은청소기 바꾸고 싶다는데 그럴 맘 있어? 안 쓰는 거 사람들한테 줄 만한 거 없어?” 라고 묻는다. 이렇게 해서 시흥동 벽산아파트 사람하고 우방아파트 사람에게 서로의 전화번호를 알려주고 트렘폴린을 증여케 했다.


독산3동 녹색장터 운영회의 때 회의참여자들 간에 하프바이올린 증여약속이 이뤄지기도 했다. 증여로 모르는 사람들 간에 사적인 관계가 생겼다. 또 그냥 얼굴만 알고 지내던 사이도 하프바이올린을 주고받아서 친밀한 사적관계가 생겼다. 하프바이올린이 켜질 때마다 증여자를 기억할 것이다. 아이가 커서 하프바이올린이 작아졌을 쯤 다른 누군가에게 다시 증여되고 바이올린은 그렇게 낡아질 것이다. 하프바이올린 어린 연주자는 살아가는데 뭐가 젤로 중헌지를 느끼게 되고 자기와 가족을 둘러싼 주변의 공동체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고민이 생겼다. 증여를 약속한 물건의 보관 그리고 증여자와 수증자의 연결을 스마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증여약속을 해도 물건을 가져와 보관하는데 엄두가 나질 않아 증여 약속자의 집에 그대로 두고 있다. 증여 받은 물건은 빨리 새로운 임자를 찾아줘야 할텐데…. 캐리어를 끌고 다니며 신방물장수처럼 돌아다닐까 하는 생각까지 해봤다. 이에 대한 묘수가 떠오르질 않는다. 증여 물건의 보관과 연결에 대한 당신의 아이디어를 선물해주기 바란다(연락처:010-2774-9276)



김현미

바야흐로 졸업과 입학의 기간이다. 졸업은 학업을 마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축하임과 동시에 익숙해진 껍질을 깨고 또다른 세상으로의 나아감을 의미한다.  따라서 졸업선물에는 졸업생에 대한 격려와 희망의 메세지가 담겨있다. 졸업선물은 미래지향적인 선물이므로 그 시대에 열망하는 가치와 시대의 흐름이 반영된다.

1970~80년대에 가장 인기를 얻었던 졸업선물은 단연 만년필과 손목시계였다. 졸업은 대부분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므로 공부와 시간관리를 위해 꼭 필요한 물품이었다. 또한 성실하게 공부하여 성공하는 것이 그 당시 가장 많은 사람들이 꿈꾸었던 희망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아피스만년필과 오리엔트 시계는 그당시 고급졸업선물의 대명사였다.

공산품이 흔하지 않은 시기였으므로 일회용품이 아니라 두고두고 쓸 수 있는 실용성있는 제품을 귀하게 여겼던 당시의 시대상을 알 수 있다. 그 외의 선물로는 상급학교 교복이나 책가방, 탁상시계 등 생활형선물, 앨범이나 꽃다발 등 낭만형선물,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에게는 성인을 의미하는 와이샤쓰나 기성복신사숙녀 등의 상징형선물 등이 있었다.



그러면 2000년대 들어 졸업선물 지도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요즘 졸업생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선물은 단연 IT기기이다. 스마트폰, 노트북, PMP, 아이패드, 하이브리드카메라 등은 정보의 시대임을 실감나게 한다. 게다가 스타일을 강조한다.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의 유행감각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IT기기는 비단 고등학교졸업생 뿐 아니라, 초중등학교 졸업생들에게도 단연 인기이다. 오로지 책에만 의존하여 공부하던 과거와 달리, 전자사전,  넷북, 핸드폰 등 디지털제품으로 공부하고 교류한다.

그 외 눈에 띄는 졸업선물로는 성형수술이 있다. 특히 방학을 이용하여 쌍꺼풀, 코 수술,  피부미용 이용권을 선물하는데, 7~80년대만 해도 연예인들에게만 해당되는 성형이 일반화되었다는 뜻이다.
이러한 졸업선물은 '외모도 능력'이라는 이 시대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금, 기프트카드, 상품권 등의 실속형 선물도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풍경으로, 선물을 받는 사람의 선택이 우선시된다. 개성이 주요한 가치임을 가늠케한다.
그러면 시대가 변함에도 불구하고 변함없이 이용되고 있는 졸업선물은 어떤 것이 있을까?

가방, 시계, 옷, 지갑, 책 등은 여전히 졸업선물로 애용되고 있는 제품이다. 다만, 같은제품이라도 과거에는 제품고유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 것들이었던 것에 비해 요즘은 비쥬얼하고 스타일리쉬한 것을 강조한다. 책은 공부하는 법, 사회생활, 취업을 하는 데 있어 필요한 처세술을 담고 있는 것이 주를 이루는데, 인간의 본성보다 능력위주로 평가되는 사회상을 반영한다.
이번 졸업에 당신은 어떤 선물을 준비하고 있는가? 어떤 종류이던 간에 선물을 통해 주는이의 마음 뿐 아니라 같은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간의 시대적 공감을 나눌 수 있다. 그 공감을 통해 주고받는 이 모두에게 현재의 삶에 대한 격려와 미래에 대한 희망이 전해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김수진 기자
gcinnews@gmail.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