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피아의 탄자니아 통신-33    


아, 덥다 더워


“너, 돈 좀 있어?”

“아프리카에서 금방 온 내게 돈이 어디 있어? 그런데 왜?”

“돈 있으면 비트코인에 투자 좀 하라고.”


느닷없이 전화를 걸어 온 친구와의 대화 내용이다.

주위에서 가상화폐 투자로 돈 벌었다는 사람들이 많아 투자를 해보려고 했더니  정부의 규제로 계좌 개설 자체가 불가능해지자 계좌를 가진 젊은이에게 돈을 맡기고 대리 투자를 했는데 며칠 사이에 많이 올랐다는 자랑 겸 투자권유 차 전화를 한 것이다. 하도 해괴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수익이나 손실이 발생했을 때는 어떻게 배분하기로 한 것인지가 궁금해 꼬치꼬치 캐물었더니, 이익은 똑같이 나누고 손실은 본인이 전부 떠안기로 했다는 것이다. 나도 너 같은 투자자 좀 찾아 봐야겠다며 허풍을 떤 후, 일단 돈부터 회수하고 추이를 지켜보다, 꼭 해야겠다 싶으면 본인계좌를 만든 후, 다 잃어도 대세에 지장이 없을 만큼만 투자해 보라고 권했다. 그녀는 사람을 그렇게 못 믿어서 어떻게 사느냐고 혼잣말 하듯 한마디하고는 전화를 끊었다.

나름 시대의 변화 정도는 읽으며 산다고 생각한 내게 오랜만에 들어간 한국의 가상화폐 광풍은 상실감 비슷한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이 된 것 같은 느낌이랄까? 바보가 된 듯도 했다. 가상화폐를 카카오 페이나 네이버 페이처럼 온라인 지급 결제 수단으로 쓰이는 것이라고 이해하며, 카드조차 필요 없는 시대니 여간 편리하지 않겠구나, 라고만 생각했으니 사실 바보였던 것이다. 

도대체 언제부터 가상화폐가 우리나라에서 거래가 되었기에 나는 까막눈이 된 것인지 궁금했다. 2013년, 내가 아프리카로 향한 시점과 거의 비슷하다. 이곳에서도 가상화폐에 대한 기사를 접하긴 했을 터이지만 관심이 없으니 저 세상 일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눈 돌릴 사이도 없이 내 눈 앞에 쫙 펼쳐지니 무심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2030세대가 주축이 된 작금의 투기 열풍에 법무부는 가상화폐 거래소 폐지를 추진 중이며, 투자자들은 청와대 청원 게시판으로 몰려가 거래소 폐지나 가상화폐 투자를 도박으로 보는 것에 반대하는 청원을 하고 있었다. 이런저런 갑론을박을 가만히 지켜보다보니 시대적 요구에 의해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정책으로 막을 방법은 없어 보인다. 일시적 유행을 넘어서는 거센 물결이 될 것은 분명하다. 

 나는 지금 가벼운 옷차림으로 이 글을 쓰고 있다. 올해 들어 가장 춥다는 날, 한국을 떠나오며 입고 있던 두꺼운 옷을 경유지마다 매미가 허물을 벗듯 한 겹씩 벗어던지자 여름 원피스 한 겹만 남았던 까닭이다. 단시간에 일확천금을 번 사람들의 무용담을 들으며 느꼈던 상실감도, 시대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도 모르는 바보가 되었다는 자괴감도 더위 속에 던져버리고, 모기장 속으로 들어온 한 마리 모기를 잡기 위해 모기채를 힘껏 휘두른다. 아, 덥다 더워.



2018.1.14일

* 탄자니아에서 소파아

말라위의 보석, 나도 그런 곳에서 살고 싶어라


말라위, 아니 아프리카에는 내가 ‘그들만의 섬’이라고 부르는 곳이 있다. 자연이 빚어놓은 가장 아름다운 풍경. 다 같이 즐겨야 마땅할 공간에 높은 담장을 두르고, 빗장을 풀 수 있는 열쇠는 오직 돈인 곳.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연스런 일이라 생각하면서도 거부 반응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어디 아프리카뿐이랴. 사람이 사는 세상 어디에나 있지만, 아프리카에서는 피부색만큼이나 더 도드라져 보일뿐. 

그러나 그 가치를 모르면 황무지에 불과할, 아무도 탐내지 않을 땅을, 아이디어와 긴 시간, 노력만을 밑천으로 누구나 쉬어 갈 수 있는 값싸고 편안하면서 즐거운 명소로 다듬어 놓은 곳이 있다. 그러한 곳을 발견하는 일은 가난한 배낭 여행자에게 밤하늘별만큼이나 빛나는 일일 수밖에 없다.  


은카타 베이로 가는 길목에서 중요한 일은 머물 곳을 찾는 것. 여행 전에 대충의 동선만 그리고 떠나온 까닭이다. 너무 많은 정보는 그 자체가 피로이기도 하지만, 현지인과의 대화 속에서 의외의 보물을 길어 올릴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마요카 빌리지’란 이름으로 수렴이 되었다. 결이 고운 모래사장을 앞에 둔, 전망 좋은 마을이려니 했다. 산길로 난 좁은 길을 따라 터벅터벅 한참을 걸어가자, ‘마요카 빌리지’라고 적힌 대문이 보인다. 내 예상을 깨고, 잡목 사이로 방갈로 형식의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하얀 얼굴에 죽은 깨가 귀여운 중년의 여인이, 들어서는 나를 보자 벌떡 일어나며 손을 내밀었다.


“나는 케이트라고 해. 반가워.”

“나도 반가워. 소피아야.”


자신의 이름부터 먼저 대는 게스트 하우스 주인이라니, 무조건적인 친근감이 들었다. 방은 일주일분이 모두 예약이 되었고 오늘 하루, 딱 하나가 남았다며 머물겠느냐고 묻는다.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이 아니라면, 하루라도 야생화를 닮은 이곳에 머물고 싶었다.

앞서 걷는 그녀의 뽀얀 맨발이 아슬아슬하다. 흙과 돌로 자연스레 만들어진 좁은 길이었으니 말이다. 방은 도리토리로 4인실, 공용 화장실과 샤워 실을 써야한단다. 사람들 속에서 계속 지내던 터라 혼자만의 공간을 원했는데... 내 표정을 읽었는지 일 인실 가격으로 혼자 쓰란다. 내가 부담할만한 수준이다.


아기자기 예쁜 호수를 배경으로 자리 잡은 카페. 그동안 배낭의 한편에 자리 잡고 무겁기만 했던 천덕꾸러기, 읽고 또 읽어도 헛갈리는 신들의 이름과 복잡한 족보만으로도 늘 처음 읽는 것 같은 책.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가 동무가 되어 준다. 

가끔 원숭이들이 뭐라도 얻어먹을 거 없나 들락거릴 뿐 조용하다. 책 사이로 저만치 케이트가 보인다. 여전히 그 뽀얀 맨발로, 해안가에 손님들이 부려 둔 요트를 어깨에 메고 끙끙대며 옮기고 있는 중이다. 몸을 아끼지 않는 저런 부지런함과 상냥함, 위험을 부담할 용기가 성공의 비밀이란 것을 말해 주고 있었다. 


그녀가 왜 이런 황무지를 굳이 택했을까, 그녀가 되어 상상의 날개를 펴고 싶어졌다. 원래는 길도 없는 맹지였다니 말이다. 어딘가 분명 그녀의 눈길을 끈, 아무나 발견 할 수 없는 매력을 감추고 있을 것이기에.  

호숫가에 까만 돌들이 물과 육지의 경계에 켜켜이 누워있다. 이끼 낀 돌들이 물빛을 더 투명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저거구나, 저것을 중심으로 놓고 이 땅을 조각하기로 한 거구나. 그리고 오랜 시간을 두고 공을 들였겠구나. 

뭐 특별하지는 않다. 메마르고 가파른 언덕에 꼭 필요한 공간만큼 평평하게 땅을 고른 후, 야영객을 위해서는 물소리를 들으며 잠을 청할 텐트를 허락하고, 가난한 배낭족을 위해서는 저렴한 도미토리를 짓고, 형편이 좋은 여행자를 위해서는 화장실이 딸린 객실도 지었을 것이다. 그리고 집과 집 사이를 연결할, 한 사람이 겨우 걸어 갈만큼의 폭으로 길과 계단을 놓자, 남은 잡목 숲은 그대로 정원이 되었을 뿐. 특별하지 않기에 더 특별할 수밖에 없는 곳. 이런 ‘그들만의 섬’이라면 얼마든지 더 많아도 좋지 않을까?


요 며칠 최 영미 시인으로 인터넷이 달아올랐다. 집 때문에 고민하던 중, 호텔에서 살다 죽은 문필가에 생각이 미치며 기발한 발상을 한 것이다. 일 년 동안 호텔방을 사용하게 해 주면 그 호텔 홍보 대사가 되겠다는 것이었는데, 그 글 때문에 ‘갑질 논란’의 주인공이 되었던 것이다. 

나 역시 주거에서 자유롭지 않은 사람으로, 소박하지만 이런 예쁜 공간을 보면 꿈을 꾸곤 했다. 원피스 한 두 벌로 일 년을 날 수 있고, 이불이 없어도 춥지 않은 따뜻한 나라에 이런 방 한 칸만 있으면 좋겠다고. 언감생심 호텔이랴! 

대한민국의 유명한 시인인 그녀가 한 몸 뉠 공간이 없어, 인터넷에 넋두리를 하면서 벌어진 해프닝이 씁쓸함을 넘어서 슬프기도 하지만, ‘갑질 논란’에 휩싸인 그녀가 한편으로는 부럽기만 한 이유다.




9월14일 소피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