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보는 바보

(이덕무와 그의 벗들 이야기)  

안소영 지음, 강남미 그림, 출판사 보림 



온종일 방에 들어앉아 혼자 실없이 웃거나 끙끙대고 외마디 소리를 지르기도하는 이덕무를 보고 사람들은 어딘가 모자라는 책만 보는 바보 "간서치"라 불러다 한다. 이 책은 본가의 적자가 아니니 물려받을 재산도 없고,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하니 살림을 꾸려 갈 녹봉도 받지 못하고 온전한 양반들만의 세계에 끼워주지도 않았던 서자출신 이덕무와 그의 벗들(박제가, 유득공, 백동수), 명문가의 자제지만 생각이 깊었던 이서구, 스승이었던 담헌 홍대용, 연암 박지원등 역사속 인물들의 삶을 마치 곁에서 지켜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저 별 도리 없이 가난을 대물림 받아 가슴속에 품은 뜻을 세상에 펼쳐 볼 수 없었던 이덕무는 굶주린 때에, 날씨가 추울때에, 근심걱정으로 마음이 괴로울 때, 기침병을 앓을 때에는 온종일 작은 방에 앉아 햇살을 따라 책상을 옮겨가면서 애써 돼내어 책을 읽고 또 읽었다 한다.


 1766년 5월 백탑(원각사 십층석탑) 이 있는 대사동으로 이사를 하게되고 벗들과 스승을 만나게 됨으로써 이덕무생애에서 가장 빛나는 시절을 보내게 된다. 그의 벗중에 박제가는 오랑캐의 신기한 것만을 좋아하며 쫓아 다닌다고 사람들에게 손가락질을 받으면서도 잘못된 것에는 눈을 부라리며 옳다고 생각하는 것에는 뜻을 굽히는 법이 없이 그의 말은 언제나 단호하고 확신에 차 있었다. 그의 눈을 백성들에게 닿아 있었기에 양반과 백성을 구분하고 백성들 사이에서도 농민과 수공업자 상인들의 순서를 매기는 것을 못마땅해 하였다. 

 쾌한 생명력을, 사람의 마음을 어루만지고 편안하게 해주는 독특한 기운이 있는 유득공또한 그의 벗이었다. 유득공은 늘 소매에 종이와 붓을 넣고 다니며 조금이라도 색다른 것을 보면 글로 써두어 글 상자 속에 보관하였다. 조선의 역사. 조선의 사람들에 관한 기록을 눈여겨 보았으며 조선땅 구석구석을 돌아다녔던 그는 (이십일도회고시)를 완성하였다. 그리고 처남 매부지간이었던 백동수는 성미가 급하고 대대로 내려오는 무인 집안의 자손으로 할아버지에게 활 쏘는 법, 말 타는 법을 배우고 당시 최고 검객 김광택에게 검술을 배웠으며 의술과 단학도 아울러 익혔다. 


 가난에 찌든 선비였던 이덕무와 부족함이 없던 명문가의 자제였던 이서구가 벗이 될 수 있었던건 책을 통해서였다. 문턱이 닳도록 오고가며 책을 나누고 읽고 이야기하면서 서로가 너무 잘 맞았다. 

 이렇듯 이덕무와 그의 벗들이 사람다운 대접을 받고 사람으로써 살아가는 의미를 찾을 수 있었던 것은 오직 마음에 맞는 벗들과 함께 백탑 아래에서 서로의 집을 드나들며 나이와 신분에 꺼리낌없이 함께 어울리는 것이었다.

 탑과 벗들과의 사귐이 무르익어가면서 자연스럽게 그들에게도 더 큰 세계와의 만남을 갖게해주는 스승을 만나게 된다. 한 사람의 인생을 놓고보면 누가 중심이고 누가 변두리라고 할 수 있겠는가 누구나 자신의 삶에서의 스스로가 중심인것을 가르쳐준 단헌 홍대용 선생과 편견에 사로잡힌 세상은 새로운 활기라고는 없는 세상, 변화를 거부하는 낡은 것들로만 가득한 세상이라며 편견을 버리라고 가르쳤던 연암 박지원과의 만남이었다. 

 정신없이 벗들의 이야기까지 읽어내려갔을때 생각이 들었다. 누구와 어디와 많이 닮았다.  같이 보고픈 책을 정해 열심히 읽고 부족한 책을 줄서서 돌아가며 읽어와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이야기를 나누고 커피를 마시고 밥을 먹으며 서로를 이해하고 정을 쌓아가는 은행나무도서관 역시 그들의 "청장서옥" 못지 않다는 것에 뿌듯했다. 

 서자 출신이라는 운명이 그들을 얽매일때 세상에 태어나 쓰일 때가 없다는 절망감에 고통스러울때 백성의 미래가 조선의 미래가 걱정스러울때 같이 분노하고 함께 이야기 나눌 벗이 없었다면 어디에 마음을 둘 수 있었을까?


 이덕무는 나이 40이 다 되어 박제가, 유득공과 함꼐 중국으로 떠나는 사신의 수행원으로 가면서 넓은 세계로 첫 발을 내딛는다. 정조의 탕평책으로 규장각 검서관이된 그는 여러 서적의 편찬, 교정, 감수에 참여하였으며 많은 시편도 남긴다. 그 뒤로는 경기도 적성지방의 현감으로 내려가 백성들 속으로 들어가 고을을 다스렸다. 그들이 후세에 남긴 많은 서적들을 다 읽어볼 수는 없지만 "오랜 세월이 흐른다하더라도 누군가 나의 마음속에 스며들어와 나의 진심을 이해할 수 있을때, 우리는 시간을 나눌 수 있다. 옛삶과 우리가, 우리와 먼 훗날 사람들이, 그렇게 서로 나누며 이어지는 시간들 속에서 함께하는 벗이 되리라." 이 글귀 처럼 "책만 보는 바보" 한 권의 책으로도 책과 벗들을 그리고 내 나라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함께하는 벗이 될 수 있으리라 싶다.



    [은행나무어린이도서관 정혜숙 ]

<우리 누나>  오카 슈조 지음/ 웅진책마을

<우리 누나>
 오카 슈조 지음/ 웅진책마을

이 책에는 6개의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장애를 갖고 있는 아이들의 이야기입니다. 이 책이 특별하다고 생각한 건 <장애>라는 것을 저 쪽에 두고 그것을 바라보면서 이야기 하는 형식이 아닌 바로 우리 생활 속에 있는 장애아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겁니다.

흔히 그동안 보았던 장애 관련 책들은 모든 걸 초월한 영웅들의 감동 스토리 아니면 장애를 가졌지만 마음이 착한(?) 아이들 같은 틀에 박힌 인물들이 나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늘 불쌍하게 바라보고 늘 도와주어야 하기 때문에그들과 실제 친구가 되기란 어려운 일이 되고 말죠.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다 착한 건 아닙니다. 그건 장애를 갖지 않은 아이들이다 착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신체의 장애 뿐이라고 말은 하지만 마음의 장애도 갖고 있습니다. 쓰라린 일이 많기 때문이죠.

 이 책은 이제 장애를 갖고 있는 아이들을 그저 평범한 아이로 봐주기 바랍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게 아니죠. 사실 어떻게 평범하게 보겠습니까? 작가와 편집자는 그 이야기를 뒤에서 하고 있습니다. 사실 모든 사람에 가장 중요하고 중심이 되는 것은 <자기 자신>이라고 합니다. 그것을 인정한다면 장애를 가진 아이들도 그렇다는 것은 인정해 달라는 것입니다.

<잇자국>에서 자신을 괴롭히는 아이들을 있는 힘을 다해 저항하던 <그 녀석>은 달리 성격이 까칠하거나 똘똘해서가 아니라 자기를 지키고, 자기를 세상의 중심에 놓는 당연한 마음이었기에 상대방을 물고 거짓을 밝히는 일을 한 것입니다. 슬프게도 그의 이런 행동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자기 자신>을 지키는 일은 장애인이건 아니건 중요한 일입니다.
방송이나 신문기사, 그리고 몇몇 책에서 보게 되는 <훌륭한> 장애인들을 그만 생각하고 우리 이웃에 있는 평범한(?) 장애인들을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어떻게 보고 도와줄 것인가도 물론 중요하지만 어떻게 함께 살아나갈 것인가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여기에서 또 권정생 선생님의 말씀이 생각납니다. " 우리를 불편하게 만드는 책이 훌륭한 책이다.." 정말 옳은 말씀입니다.
.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우리말)
우리누리 글/ 심심스쿨 그림/ 길벗스쿨/

우리가 생활하면서 자주 쓰는 낱말들의 뜻과  생겨난 이야기를 네 칸 만화와 함께 즐겁게 볼 수 있는 책이다. 하나씩 읽다 보면 우리 아이들의 어휘도 부쩍 자라지 않을까?
 

 안녕, 나의 별
 파블로 네루다 글 /  살림어린이

하늘의 별이 너무 아름다워 별을 훔친 아이. 하지만 마음이 자꾸 불편해진다. 그래서 결국 물 속에 놓아 준다. 좋은 것만 가지려 하고 나 혼자만 가지려 하는 우리들 마음을 꼬집는 그림책이다.

 

 

 생각의 좌표
 홍세화 / 한겨레출판

 우리 사회가 자유롭고 평등한, 건강한 사회로 나가기 위해 개인들은 자신이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인식해야 자신의 할 일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이 책은 현재 대한민국 현실 속에서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찾게 해주는 책이다





*은행이는 ‘은행나무어린이도서관’의 책읽는 어른모임 ‘함박웃음’에서 함께 책을 읽고 올린 글입니다. 
동네사람들과 함께 책읽기
 책읽는어른 '함박웃음' 13기 신입회원 모집
4월 11(월)에 기본 교육 첫강이 실시됩니다.
책을 읽고 나누고 싶은 분 누구나 참여 할수 있습니다. 참여 신청은 은행나무 도서관으로 해주세요/  은행나무어린이도서관  892-789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