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정말 무엇으로 살까? 생각해 보니 밥으로도 살고, 관심으로도 살고, 가족 때문에 살기도 하고, 그것도 아니면 사실은 '태어났으니까' 살기도 합니다.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구두수선공 시몬이 오랜만에 외상값도 받고 그 돈으로 외투를 사기로 한 날에 벌어진 일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너무 가난해서 외투를 부인과 공용으로 입는 시몬은 이 날 큰 기대에도 불구하고 외상값은 받지 못하고 낡은 장화 수선을 부탁받습니다. 술을 한 잔 걸치고 집으로 가는데 알몸으로 떨고 있는 미하엘을 만나 낡은 자신의 외투를 벗어주고 장화를 신겨 집으로 데려옵니다. 안 봐도 뻔하죠? 집에서 기다리고 있던 마트료나는 이들을 내쫓으려하다가 시몬이 <신의 사랑>을 말하자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저녁을 줍니다. 이후 6년을 미하엘은 이들과 함께 구두를 수선하며 살죠.  사실 미하엘은 천사였습니다. 그가 모든 것이 끝난 후 하늘로 올라갈 때 신이 가르쳐 준 세 가지를 일러줍니다.

첫째, 사람의 마음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둘째, 사람에게 허락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또는 사람이 알지 못하는 것은 무엇인가)

셋째,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천사는 이 모든 것을 깨닫고 하늘로 올라갑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이 문제를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다 읽은 후에는 내 생각과 다른 부분도 찾아봐도 좋겠죠.

미하엘이 이런 말을 합니다. "내가 사람의 세계에 내려와 내가 살아갈 것을 염려해서 살 수 있었던 것이 아니다. 벌거벗은 나를 불쌍히 여겼던 가난한 구두수선공과 그의 아내가 나를 불쌍히 여겼기에 살았고 어머니를 잃은 쌍둥이 역시 그들이 스스로를 염려해서가 아니라 한 여인의 사랑에 의해 자랄 수 있었다. 장화를 주문한 부자는 자신의 앞날을 알지 못했다."

개인적인 이야기인지 모르지만 내가 내 능력으로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고 믿었던 제게는

큰 울림을 주는 책이었습니다. 종교를 떠나서 사람이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야 하는지를 알려주었다고 할까요? 신의 사랑이 사람에게 존재한다는 대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톨스토이는

사람에게 신의 사랑이 있고 그것을 발현하는 것이 정말 '종교적'인 인간이라 생각한 것 같습니다. 지주의 입장이었지만 가난한 러시아의 농민들을 사랑하고 그들 편에 섰던 위대한 문호, '톨스토이주의'라는 사상을 전파시킨 사상가라는 어마어마한 이름이 아니더라도 이 한 작품으로, 멍 하게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의 뒤통수를 탁 치는, 그래서 다시금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힘이 그에게는 있는 것 같습니다.

삶이 심각해지기 시작하는 중 2 이상 청소년들이 읽으면 좋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