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금천 디딤돌

2013 아름다운 이웃 서울 디딤돌 기부 141개업체 1억원 후원


금천구는 ‘2013 아름다운 이웃 서울 디딤돌 기부자 초청 감사의 날’을 12월 11일 시흥5동 어울샘에서 열고 20개 우수후원업체를 표창했다.  

디딤돌 사업이란 지역사회의 민간자원을 개발하여 복지서비스로 연계하는 사업으로 지역사회에 있는 상점, 학원, 기업체 등이 자율적으로 기부(물품, 서비스 등)에 참여,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 돕고, 도움 받은 이웃은 상점을 격려함으로써 지역사회를 ‘나눔공동체’로 만들어 가는 것으로  서울시가 지난 2008년부터 시작했다. 

올해 디딤돌사업 금천후원업체는 141개업체이며 서비스 이용자수는 1,960명, 서비스 이용건수는 8,489건 1억7십만원에 육박한다. 

유광봉 복지문화국장은 “금천구는 도와줄 곳이 많다.  그나마 최근에는 후원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어 무척 감사하다. 복지국장으로서 보람을 많이 느낀다.”고 말했다.

디딤돌 사업을 통해 도움을 받은송우섭군은 감사인사에서 “한달에 두 번 지하철을타고 김가네 김밥을 먹으러 갈 때는 눈썰매 타는 것처럼 신이난다. 먹을 것, 입을 것 사용할 것을 나눠주는 지역사회 후원업체의 도움을 저금했다가 더 어려운 이웃에게 나눠주겠다”고 말했다.

감사장을 받은 시흥1동 포토픽스 사진관 대표는 “구청 앞에서 사진관을 하고 있다. 혼자 살거나 어려운 사람들은 단돈 일이만원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것 때문에 사진을 찍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해줄 수 있게 되서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독산4동 명가원설렁탕 권병용 주방장은 "이런 기회를 통해서 나눔을 하게 되서 기쁘다. 내가 만든 음식을 맛있게 먹는 모습이 좋다"고 소감을 말했다.

메가SD 학원 손금석 대표는 “학원이라는 특수성이 있지만 직접 피부로 느끼는 것은 그 아이들이 공부에는 관심조차 없었구나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이 성장했을 때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인데 시간이 오래걸린다. 어떻게든 진심을 다하려고 애쓰고 있다.”고 과정을 설명했다.

위생업체로 독거노인들의 집을 청소해주는 한 업체의 대표는 “엄청난 주거 환경에 놀랐다. ‘세상에 이런 일이’에 나와도 될 만한 집들이 많았다. 처음에는 직원들도 많이 힘들었지만 그 뜻을 서서히 이해해주고 있는 것 같다. 

정수도매인테리어필름학원 김말녀씨는 “디딤돌 사업에 작년부터 참여하게 됐다. 뽀로로를 좋아하는 7살 아이가 있었는데 뽀로로 벽지로 도배를 해주니 정말 좋아했다. 너무 고맙다는 인사를 들으니 정말 보람됐다. 작은 일이지만 큰 기쁨을 얻었다.”고 소감을 말했다.





업체명

업태

동별

서비스 내용

거멍도야지(한식)

외식

가산동

거멍도야지(외식)
연락처:02-6111-8992
서비스 내용:월1회 무료급식 90명 후원

광양숯불갈비

외식

독산4동

광양숯불갈비(외식)
연락처:02-802-5198
서비스내용:주1회(수)/ 우거지국 4그릇 포장 

남원추어탕

외식

시흥1동

남원추어탕(외식)
연락처 : 02-807-0252
서비스내용:월1회 백미 20kg 1포 

동남숯불갈비

외식

독산4동

동남숯불갈비(외식)
연락처:02-854-9049
서니스내용:월1회 / 10명 식사 후원,
주1회(월)/된장찌개 4그릇 포장 

듬배골(한식)

외식

시흥5동

듬배골(외식)
연락처:02-803-8411
서비스내용:월 24명 식사후원 

마포숯불갈비

외식

독산4동

마포숯불갈비(외식)
연락처:02-867-2203
서비스내용:주1회(금)/육개장, 제육볶음등 4개 포장 

만세한식뷔페

외식

독산1동

만세한식뷔페 (외식)
서비스내용:음식 월 4명 후원 

명동칼국수 샤브샤브

외식

시흥5동

명동칼국수 샤브샤브(외식)
서비스내용:월 2명 식사후원 

벌집삼겹살

외식

독산3동

벌집삼겹살(외식)
연락처:868-3392
서비스내용:월 1회 점심식사(4명) 후원 

부뚜막청국장

외식

독산4동

부뚜막청국장(외식)
연락처:02-839-7828
서비스내용:월1회 / 장학금 5만원 후원 

서울식당(한식)

외식

시흥2동

서울식당(외식)
연락처:02-804-4066
서비스내용:월 3명 식사후원 

솔향기(한식)

외식

시흥5동

솔향기(외식)
연락처:02-802-3377
서비스내용:월 24명 식사후원 

수원숯불갈비

외식

시흥5동

수원숯불갈비(외식)
연락처:02-893-0896
서비스내용:월 4명 식사후원 

시골보쌈(한식)

외식

시흥1동

시골보쌈(외식)
연락처:02-893-0896
서비스내용:월2회 고기(닭 2마리, 돼지고기 5근) 후원  

신선설농탕 독산점

외식

독산1동

신선설농탕 독산점(외식)
연락처:02-851-1900
서비스내용:월10세대 후원 

양평해장국

외식

시흥1동

양평해장국(외식)
연락처:02-808-6919
서비스내용:월 5세대 후원 

옛고향 감자탕

외식

시흥1동

옛고향 감자탕(외식)
연락처:02-805-7214
서비스내용:감자탕 5인분 포장 

오리명가

외식

독산2동

오리명가(외식)
서비스내용:월 첫째주 금요일  어르신 10명에게 식사대접

온정식당

외식

시흥1동

온정식당(외식)
서비스내용:월 4세대 후원

우렁이네쌈밥

외식

독산1동

우렁이네쌈밥(외식)
연락처:02-893-3838
서비스내용:월1~2회 외식 후원

우리집식당(한식)

외식

시흥1동

우리집식당(외식)
연락처:02-803-7468
서비스내용:월 4명 식사 후원

원조마포갈비

외식

독산2동

원조마포갈비(외식)
연락처:02-805-4364
서비스내용:매주 수요일 밑반찬 3가지 후원

유가네(짬뽕)

외식

독산1동

유가네(외식)
서비스내용:월 4명 식사후원

의정부부대찌개

외식

시흥5동

의정부부대찌개(외식)
연락처:02-804-0723
서비스내용:월 14명 식사후원

장어랑 고기랑

외식

독산1동

장어랑 고기랑(외식)
연락처:02-895-2727
서비스내용:월1회 외식후원
(월 어르신 10명에게 점심식사 제공)

지리산삼계탕

외식

독산1동

지리산삼계탕(외식)
연락처:02-869-2009
서비스내용:월1회 무료식사 3명후원

청진동해장국

외식

독산1동

청진동해장국(외식)
연락처:02-802-9426
서비스내용:매주 해장국 6인분후원

택구네 칼국수

외식

독산4동

택구네 칼국수(외식)
연락처:02-851-9459
서비스내용:주2회(월,금)/국수 2그릇 후원

화평동냉면갈비

외식

시흥동

화평동냉면갈비(외식)
연락처:02-892-4554
서비스내용:월1회 10명 독거노인 식사후원

구구구닭갈비

외식

시흥1동

구구구닭갈비(외식)
연락처:02-893-1536
서비스내용:닭갈비 & 음료수 / 월 1회 10명 식사후원

무침나라(횟집)

외식

시흥1동

무침나라(외식)
서비스내용:월2회 생선 11~13마리 후원

고향한우촌

외식

시흥2동

고향한우촌(외식)
연락처:02-808-2121
서비스내용:월 1회 어르신 20명 점심 대접

우뜨래 식당(한식)

외식

가산동

우뜨래 식당(외식)
연락처:02-3281-5333
서비스내용:월1회 무료급식 40명

명가원 설렁탕

외식

독산4동

명가원 설렁탕(외식)
서비스내용:월1회 설렁탕 20명

동흥관

외식

시흥1동

동흥관(외식)
연락처:02-803-3759
서비스내용:매주 수요일 점심 5개

북경원(중국집)

외식

가산동

북경원(외식)
연락처:02-861-1171
서비스내용:월10세대 후원

길목분식

외식

시흥1동

길목분식(외식)
연락처:02-803-2232
서비스내용:음식 월 40인분 후원

김밥천국

외식

시흥1동

김밥천국(외식)
연락처:02-804-5623
서비스내용:김밥20줄 포장 

김밥천국

외식

독산4동

김밥천국(외식)
연락처:02-851-7342
서비스내용:주1회(월)/김밥 4줄 포장

부송국수

외식

시흥1동

부송국수(외식)
연락처:02-805-2885
서비스내용:김밥10줄 포장

영동김밥

외식

가산동

영동김밥(외식)
연락처:863-4729
서비스내용:반찬 등 음식나눔

토마토 김밥

외식

시흥1동

토마토 김밥(외식)
연락처:02-6369-7776
서비스내용:김밥10줄 포장

피자스쿨

외식

독산4동

피자스쿨(외식)
서비스내용:월1회 피자 5판 후원

버무리(분식)

외식

시흥1동

버무리(외식)
서비스내용: 분식 5세대 후원 

혜성분식

외식

시흥1동

혜성분식(외식)
연락처:02-891-5704
서비스내용:월1회 4명 식사 후원

김가네김밥

외식

가산동

김가네김밥(외식)
연락처:02-2026-0014
서비스내용:월2회 김밥 30줄

롯데리아

외식

시흥5동

롯데리아(외식)
연락처:02-808-0208
서비스내용:월 5명 햄버거후원

빵굼터(베이커리)

외식

시흥3동

빵굼터(외식)
서비스내용:월1회 빵(3만원상당) 후원

송탄햄버거

외식

시흥5동

송탄햄버거(외식)
연락처:02-807-3857
서비스내용:월 10명 햄버거후원

본스치킨

외식

시흥1동

본스치킨(외식)
서비스내용:월 치킨 2마리 후원

안경마당

생활

시흥1동

안경마당(생활)
연락처:02-802-5005
서비스내용:월 5세대 후원

안경매니저

생활

시흥5동

안경매니저(생활)
연락처:02-894-6090
서비스내용:월 10세대 안경 후원

라루(커피전문점)

외식

시흥1동

라루(외식)
서비스내용:음료 5잔 3000월 이내

가산백화점약국

보건

가산동

가산백화점약국(보건)
연락처:02-838-1158
서비스내용:월1회 파스 20박스 후원

녹십자약국 

보건

시흥3동

녹십자약국(보건)
연락처:02-806-2351
서비스내용:월1회 파스(6만원) 후원

대우당약국

보건

시흥4동

대우당약국(보건)
연락처:02-808-8960
서비스내용:월 5명 의약품 후원

명문당약국

보건

시흥1동

명문당약국(보건)
연락처:02-803-3443
서비스내용:반기별 파스 후원

명보약국

보건

시흥3동

명보약국(보건)
연락처:02-803-2384
서비스내용:분기별 파스 후원

백산온누리약국

보건

시흥2동

백산온누리약국(보건)
연락처:02-802-2380
서비스내용:파스 22매

벽산프라자약국

보건

시흥2동

벽산프라자약국(보건)
연락처:02-895-2247
서비스내용:의약품 수시후원

비타민 약국

보건

시흥4동

비타민약국(보건)
연락처:02-892-5949
서비스내용:월 8명 의약품후원

예닮약국

보건

독산1동

예닮약국(보건)
연락처:866-6883
서비스내용:2013.4월 파스, 소화제 등 비상약품
                (46만원 상당)

정운온누리약국

보건

시흥2동

정운온누리약국(보건)
연락처:02-803-8982
서비스내용:파스 22매 후원

한마음약국

보건

시흥5동

한마음약국(보건)
연락처:02-808-8740
서비스내용:월 5명 파스후원

행복한 우리약국

보건

시흥4동

향복한우리약국(보건)
연락처:02-808-7911
서비스내용:월 10명 파스후원

늘푸른 나무치과

병원

신림동

늘푸른나무치과(병원)
연락처:1661-2878
서비스내용:저소득층 치과진료 후원

한성사랑의원

병원

독산2동

한성사랑의원(병원)
연락처:804-7505
서비스내용:월 2명에게 무료진료 및 물리치료(허리,관절,무릎)

용인대명성태권도

교육

독산3동

용인대명성태권도(교육)
연락처:02-857-6683
서비스내용:초등생 2명
월 교육비(1인당 11만원) 후원

정연국어전문학원

교육

시흥1동

정연국어전문학원(교육)
연락처:02-807-8027
서비스내용:학원 무료 수강 및
수강료 감면

E&U학원

교육

독산2동

E&U학원(교육)
연락처:02-896-6917
서비스내용:학원 무료 수강 및
수강료 감면

GGE원일 학원

교육

시흥5동

GGE원일 학원(교육)
연락처:02-807-7942
서비스내용:월 1명 후원

또오고싶은집(한식)

외식

시흥5동

또오고싶은집(외식)
연락처:02-807-4880
서비스내용:월 20명 식사후원

테라스(한식)

외식

시흥5동

테라스(외식)
연락처:02-895-7748
서비스내용:월 5명 식사후원

약수탕(목욕탕)

위생

시흥1동

약수탕(위생)
연락처:02-802-2417
서비스내용:월 4세대 후원

천지랜드불가마
대중사우나

위생

독산3동

천지랜드불가마대중사우나(위생)
연락처:02-856-7644~5
서비스내용:월 1회 2명 목욕비 지원

카멜리아사우나

위생

시흥5동

카멜리아사우나(위생)
연락처:02-3286-5959
서비스내용:월 2명 목욕지원

로비노래연습장

문화

시흥5동

로비노래연습장(문화)
연락처:02-806-1377
서비스내용:월 3명 노래방이용후원

호텔노래방

문화

독산1동

호텔노래방(문화)
서비스내용:월 첫째, 셋째 수요일 오후 2시부터 독거노인 5~10명에게 노래방 서비스 제공

라벨르 미용실

위생

가산동

라벨르 미용실(위생)
연락처: 02-855-8766
서비스내용:월 5명 후원

모여라미용실

위생

독산동

모여라미용실(위생)
연락처:02-859-2777
서비스내용:월 1회 컷트/파마 제공

보니따 미용실

위생

시흥1동

보니따 미용실(위생)
서비스내용:월 20세대 무료 이용 후원

스타미용실

위생

가산동

스타미용실(위생)
연락처:02-854-9290
서비스내용:월5명 커트

이가자헤어비스(금천빅마켓점)

위생

독산1동

이가자헤어비스금천빅마켓점(위생)
연락처:869-5765
서비스내용:월 미용서비스(커트,펌) 3명

이진희헤어클럽

위생

시흥1동

이진희헤어클럽(위생)
서비스내용:월3명 커트후원

이태리미용실

위생

가산동

이태리미용실(위생)
연락처:02-867-7004
서비스내용:월 3명 커트후원

체인지미 미용실

위생

시흥5동

체인지미 미용실(위생)
연락처:02-891-7888
서비스내용:월 셋째주 화요일 커트이용권
(일요일 기준 셋째 주)

태양미용실

위생

시흥4동

태양미용실(위생)
연락처:010-7708-7999
서비스내용:월5명 커트

필헤어펌

위생

시흥1동

필헤어펌(위생)
연락처:02-805-0552
서비스내용:아동 머리 컷트후원

헤어코코 미용실

위생

시흥5동

헤어코코 미용실(위생)
서비스내용:월 미용권 3명 후원
(컷트 또는 퍼머 2명 이하)

수영미용실

위생

독산2동

수영미용실(위생)
연락처:805-1820
서비스내용:월 저소득아동 5명에게 무료컷트 제공 및 독거노인 3명에게 이미용 50% 할인 서비스 후원

코디미용실

위생

시흥3동

코디미용실(위생)
연락처:02-896-1595
서비스내용:월 커드 5명,파마(염색)5명 후원

귀뚜라미난방전문

생활

독산2동

귀뚜라미난방전문(생활)
서비스내용:월 2세대에게 수도 및 기타 수리 제공

다성애드

생활

독산2동

다성애드(생활)
연락처:02-803-7000
서비스내용:연 3회 행사 현수막 후원

대동문구

생활

시흥5동

대동문구(생활)
연락처:02-809-8984
서비스내용:연 3회 행사 후원

비앤미(의류점)

생활

독산3동

비앤미의류점(생활)
연락처:070-4098-1448
서비스내용:월 1회 옷 1~2벌후원

신일보조기상사

생활

독산1동

신일보조기상사(생활)
연락처:02-812-8650
서비스내용:월3명 후원

이브자리

생활

시흥5동

이브자리(생활)
연락처:02-806-9140
서비스내용:월 3명 이불후원

제일슈퍼

생활

독산4동

제일슈퍼(생활)
서비스내용:월1회/2만원 상당 생필품 후원

주촌사 세탁소

생활

독산3동

주촌사세탁소(생활)
연락처:853-1333
서비스내용:월 1회 옷 세탁

포토픽스

생활

시흥1동

포토픽스(생활)
연락처:02-891-5547
서비스내용:격월 5세대 사진 후원

현대자동차서비스 시흥점

생활

시흥1동

현대자동차서비스시흥점(생활)
연락처:02-891-8272
서비스내용:연 3회 행사 후원

페리카나

외식

독산4동

페리카나(외식)
연락처:02-852-6001
서비스내용:분기1회 치킨 5마리

구구숯불바베큐

외식

시흥5동

구구숯불바베큐(외식)
연락처:02-807-6840
서비스내용:월 4명 치킨후원

네네치킨

외식

독산1동

네네치킨(외식)
연락처:02-856-9244
서비스내용:월1회 치킨 3마리 후원

유진바베큐

외식

시흥동

유진바베큐(외식)
연락처:02-893-3612
서비스내용:월 4명 식사후원

BKF(베이커리)

외식

가산동

BKF베이커리(외식)
연락처:02-839-9969
서비스내용:월 10세대 빵 후원

과일나라

외식

시흥3동

과일나라(외식)
서비스내용:월1회 제철과일(1~2만원 ) 후원

LA북창동순두부(독산점)

외식

독산1동

LA북창동순두부독산점(외식)
연락처:02-866-4565
서비스내용:매주 순두부 5인분후원

아울렛 마트

외식

시흥4동

아울렛마트(외식)
서비스내용:월 10명 마트이용지원
(생필품 세트 40만원 상당)

보물마트

외식

시흥5동

보물마트(외식)
연락처:02-809-4959
서비스내용:연 1회 행사 후원

낙원떡집

외식

시흥1동

낙원떡집(외식)
연락처:02-894-3524
서비스내용:매주 떡 한말 후원

태초손두부

외식

독산동

태초손두부(외식)
연락처:02-851-7844
서비스내용:매주 두부 2팩 후원

대왕방앗간

외식

독산3동

대왕방앗간(외식)
연락처:862-5959
서비스내용:월 1회 5kg 떡 후원

서산방앗간

외식

시흥동

서산방앗간(외식)
연락처:02-2104-5512
서비스내용:월 5명 참기름 2병지원

싱싱청과

외식

시흥5동

싱싱청과(외식)
서비스내용:월 2회 과일 지원

이동천식품(식료품 판매업체)

외식

시흥동

이동천식품(식료품 판매업체)
연락처:02-2104-5512
서비스내용:월 47명 냉면떡갈비 후원

정심야채김치

외식

독산4동

정심야채김치(외식)
연락처:02-862-5285
서비스내용:수시/ 김치 4포기 등 후원

참유원(두부판매점)

외식

시흥5동

참유원(두부판매점)
서비스내용:월 1회 두부 한판 

청정우시장

외식

독산4동

청정우시장(외식)
주1회(수)/ 소불고기 4팩 후원

하모니마트

외식

가산동

하모니마트(외식)
서비스내용:월1회 라면6박스후원

한가네낙원떡집

외식

독산동

한가네낙원떡집(외식)
연락처:02-858-0021
서비스내용:매주 떡 2팩 후원

허준왕족발

외식

시흥5동

허준왕족발(외식)
서비스내용:월 3명 식사후원

형제떡집

외식

시흥1동

형제떡집(외식)
연락처:02-895-9869
서비스내용:격주 떡 한말 후원

형제유통

외식

독산4동

형제유통(외식)
서비스내용:고기250근 후원

홍성계란

외식

독산3동

홍성계란(외식)
연락처:02-853-0036
서비스내용:월 1회 계란10개묶음 5팩 제공

고려할인마트

외식

시흥3동

고려할인마트(외식)
연락처:010-6331-4173
서비스내용:월1회 라면5박스(30개입) 후원

다솔식품

외식

시흥3동

다솔식품(외식)
연락처:02-806-2290
서비스내용:월2회 기주떡25박스 후원

풍년방아간

외식

시흥3동

풍년방아간(외식)
서비스내용:월1회 떡교환쿠폰 5매 후원

경안정육점

외식

시흥4동

경안정육점(외식)
서비스내용:월 23명 이용지원
월1회 정육 10kg

삼촌축산

외식

독산4동

삼촌축산(외식)
서비스내용:월2회(금)/ 소고기 4근

진로마트 정육점

외식

시흥4동

진로마트정육점(외식)
서비스내용:월 8명 이용후원

현대정육점

외식

시흥1동

현대정육점(외식)
연락처:02-802-7878
서비스내용:한달에 돼지고기 후원

으뜸정육점

외식

시흥3동

으뜸정육점(외식)
서비스내용:월1회 돼지고기(20근) 후원

다덕상회

외식

시흥4동

다덕상회(외식)
연락처:02-803-2063
서비스내용:달걀 월1판 지원

건강한 김밥

외식

시흥4동

건강한김밥(외식)
연락처:02-808-9488
서비스내용:김밥 월5줄 지원

가야성

외식

시흥4동

가야성(외식)
연락처:02-808-5432
서비스내용:짜장면 매주 2명 지원

소비자유통

생활

시흥1동

소비자유통(생필품)
연락처 : 02-892-5533
서비스내용 : 매년 백미 100~200포대 지원, 매월 음료 1박스 지원

퀸헤어클리닉

보건

시흥4동

퀸헤어클리닉(이미용)
서비스내용 : 매월 2~3명 이미용서비스 제공

궁중떡집

외식

시흥4동

궁중떡집(외식)
서비스내용 : 월1회 떡 5팩 제공

새보은약국

보건

시흥4동

보은약국(보건)
서비스내용 : 매월 10만원상당 의약품 제공

파리바게트

외식

독산1동

파리바게트
연락처 : 02-894-8280
서비스내용 : 주 2~3회 베이커리(비정기적)지원

빠세빠세안경점

생활

시흥2동

빠세빠세안경점(생활)
서비스내용 : 매월 3명 안경 맞춤 지원

유정환경위생

생활

독산, 시흥

유정환경위생(생활)
연락처 : 02-803-5085
서비스내용 : 장애인 시설 정기 방역 및 저소득 가구 방역 후원

궁중떡집

외식

시흥2동

궁중떡집(외식)
연락처 :  02-802-4468
서비스내용 : 매월 2만원 상당 식료품 지원

다정유통

외식

시흥동

다정유통
연락처:
서비스내용:저소득층 물품 후원

오른손푸드까페

외식

시흥동

오른손푸드까페
연락처:02-803-6223
서비스내용:월1회 수프 6인분 지원

지현오리로스

외식

독산동

지현오리로스
연락처:
서비스내용:월1회 5명 식사제공

지은미용실

위생

시흥5동

지은미용실
연락처:02-804-5597
서비스내용:월2회 2명 미용서비스 제공

정정자죽집

외식

시흥5동

정정자죽집
연락처
서비스내용:월1회 죽 서비스 제공

영화미용실

위생

시흥동

영화미용실
연락처
서비스내용:월3명 커트 서비스 제공

용수탕

위생

시흥동

용수탕
연락처:02-891-9194
서비스내용:매월 10명 목욕서비스 제공

진종합공사

생활

시흥동

진종합공사
연락처:02-893-7705
서비스내용:월1회 5명 생활용품 제공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주민이 강사, 마을이 학교다

                 7일 토요일엔 마을이 학교다 - 한마당 대축제로 마무리

                 내년 금천마을학교로 이어갈 것



지난 12월7일 금천구청 대강당에서는 ‘토요일엔 마을이 학교다 한마당 대축제 -토요일, 마을을 탐험하다!’가 개최됐다.

‘토요일엔 마을이 학교다’는 주5일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부모들의 부담을 줄이고 아이들에게 신나는 주말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마을의 주민들이 직접 토요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으로 2013년 서울시참여예산으로 관내 교육시민사회단체 및 기관, 마을공동체 36개 단체와 연계 총 43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교육담당관 구본영 주무관은 “지난 1년동안 ‘토요일엔 마을이 학교다’의 사업에 관내 38개 단체와 함께했다. 오늘은 각기 단체들이 흩어져서 했던 교육프로그램을 한자리에 모아 진행하는, 말그대로 한마당의 자리다. ‘우리 마을에서 이런 토요프로그램도 운영되는구나’ 알 수 있고 시민단체들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자리”라고 소개했다.

가산종합사회복지관 양윤정 복지사는 “아이들이 창의적 활동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소외계층에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요리쿡, 나눔쿡 창의수업’이다. 둘째,넷째주 토요일마다 진행해 아이들이 둘째주는 창의환경교실, 넷째주는 창의요리교실을 진행하고 나서 우정경로당에 가서 나눔활동을 했다.” 면서 “처음엔 아이들이 의존적이었다. 어떻게 그리는지?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지? 질문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는 스스로 하는 것에 익숙해졌다. 경로당까지 15분 정도 걷는 거리도 묵묵히 따라와줬다. 어르신들 대하기도 어려워했는데 지금은 편하게 서로 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담복지관 가족복지팀 유세미 복지사는  “희망 물그리기라고 해서 중고등학생들이 매주 미술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 벽화를 그려주는 프로그램이었다.”고 소개하고 “일반 프로그램은 같은 공간에서 활동하더라도 협동해서 진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공동벽화 프로그램은 협동과 배려의 과정을 배울 수 있어 더 의미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타 토요프로그램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지역사회의 자원을 많이 활용하는 것이 큰 차이다. 많은 단체들이 활동하니까 강사를 구하거나 활동장소를 구하는 것,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자원들을 활용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도심 속 목공교실 아임우드 정선자씨는 “중고등학생과 함께 ‘목공은 나의 길’이라는 목공진로체험을 했다. 부모님과 초등학생들이 참여하는 가구만들기 프로그램도 4개월 정도 진행해 반응이 좋았다. 부모나 아이들이 프로그램이 계속 있기를 원하는 것 같다. 아이들이 와서 놀고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시흥3동의 금천영재지역아동센터 윤마리아씨는 ‘카프라’를 활용한 창작활동을 진행했다. “카프라는 두뇌활동발달에 큰 도움이 된다. 아이들이 하나하나 쌓으면서 성취감을 느낀다. 카프라는 풀이나 못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하면 와르르 무너지기도 한다. 속상하기는 하지만 다시 도전하는 과정에서 많이 배우는 것 같다.”고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함께 배우는 아이들’을 진행한 중앙희망지기 유지현씨는 “요즘 아이들이 학원 다니느라고 바쁘고 동네에 누가 사는지도 모른 경우가 많다. 우리는 한 아파트에 살면서 우리아이들을 그렇게 키우지 말자고 고민하면서 ‘중앙희망지기’라는 단체를 2010년에 결성해 기타, 인라인, 우크렐라 등의 수업을 운영했다.”고 소개했다. “사업비로는 선생님이 한명밖에 올 수 없고 참여하려는 아이들은 너무 많아 나중에는 엄마들이 자원봉사에 나서 줬다.”고 말했다.  또한, “안양천 생태체험 강의를 계속하다보니 어느 순간 모르는 아이가 없게 됐고, 그렇게 알면서 아이들을 보니까 너무나 예뻐 보였다. 정말 아이들은 자세히 보고 오래보면 미운 구석이 없는 것 같다.”는 참여 부모의 소감을 소개하기도 했다. 

덧붙여 “금천구 독산1동에 산다고 하면 친구들이 ‘언제까지 살거냐?’,‘애들 학교 보내야지?’라고 물어본다. 이런 인프라 구축이 한순간에 되는 것은 아니지만 토요마을학교는 큰 인프라 구축을 할 수 없을 때 구석구석을 메꿔주는 사업인 것 같다. 마을 안에 교육프로그램이 생기고 배우고자하는 욕구가 있다면 우리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아이들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박영진씨(시흥3동)는 “한마당이 좁은 공간에서 알차게 진행되는 것 같다. 큰 아이가 토요프로그램으로 영어수업을 듣는데 좋아한다. 금천구의 교육정책들이 좋아지고 있어서 여기서 계속 살까 이야기하고 있다.”고 참여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해했다.  

토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한마당에 온 유재희(시흥5동)씨는 “처음에는 별 기대를 하지는 않고 왔는데 아이들이 재미있어하면서 뭔가 남기고 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교육담당관 구 주무관은 “내년에도 좀 더 확대해서 금천마을학교라는 이름으로 진행해 주민들이 선생님이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주민들이 스스로 강사가 되어 우리 아이들에게 관심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네트워크가 되어 가는 것”이 최대의 성과라고 소개했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금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민선5기 의정모니터링 보고 및 장애인 정책 세미나’가져

금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이하 자립센터)가 ‘금천구 민선5기 의정모니터링 보고 및 장애인 정책 세미나’를 지난 11월 29일 금천구청평생학습관에서 개최했다.

자립센터는 지난 2010년부터 2013년 6월30일까지 금천구의회 복지건설위원회 및 행정재경위원회를, 2012년7월1일부터2013년 6월30일까지는  의회운영위원회, 복지건설위원회, 행정재경위원회를 비롯해 특별위원회와 행정사무감사까지 장애인 정책관련 발언을 모니터했다.

또한, 2011년부터 장애인 당사자가 구의회 회의 등에 참관하기 시작했으며, 금천구 거주 중증장애인을 의정모니터링 교육을 통해, 이들이 주도적으로 금천구 장애인 정책관련 구의회 발언을 수집하고 분석해왔다.

황백남 자립센터장은 “금천구에서 3년간의 활동을 치하하는 자리다. ‘장애’에 관한 의정활동에는 신경 쓸 일이 참 많고, 행정부 담당자 역시 애를 많이 쓰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모니터링 결과를 함께 나누는 자리로 봤으면 좋겠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채인묵 금천구의회 복지건설위원장(가산동, 독산1동 민주당)은 “장애인 정책에서 해줄 수 있는 것이 미약하다. 내년 예산을 보면 빈약하고 열악하지만 함께 하고자하는 마음은 누구보다 높다. 모니터링 결과를 보며 하나하나 체크하겠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유광봉 금천구청 복지문화국장 역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요구사항들에 대해서 최선의 노력을 하고 싶다. 앞으로 더 좋은 발전이 있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본 행사에 들어 장애인 당사자의 의정모니터링 소감 및 결과를 발표했다. 

박동수씨(뇌성마비 1급장애)는 “타 지역에서는 활동지원제도시간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었는데 금천구청이나 동사무소에서는 안된다고 했다. 결국 센터에서 방법을 알려줘 받을수 있었지만 왜 구청이나 동사무소에는 그 방법을 알려주지 않았는가?” 물었다. 또한 장애인 편의시설이 되지 않아 건물에 진입할수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박씨는 의회 모니터링을 하면서 제148회 임시회 행정재경위원회 2차 회의에서 일자리정책과 최선호 과장과 00 위원의 대화에서 ‘장애인을 실어와서’라는 표현에 대해 “이는 장애인들을 하나의 인격체로 보지 않고 그냥 동물이나 짐에나 쓰는 표현을 장애인들에 쓰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위원들도 인격 및 인권 교육을 필수로 받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고민수씨는 “금천구에서 30년간 살아왔다. 그 30년간 불편함은 저와 제 가족이 안고 살았다. 주민 모두가 살기좋은 지역구로 거듭나기 위해 할수 있는 일이 있는지 찾다가 의회 모니터링을 알게됐다.”고 말했다.

고씨는 2012년 160차 임시회 복지건설위원회 회의 중 “장애인편의시설설치 촉진기금이 있음에도 강사비 30만원만 지급됐다”는 부분을 지적하며서 “예산이 있지만 건물주들이 회피하는 이유는 그들의 잘못된 장애인식 때문”이라며 구의 장애인식개선을 노력부족을 지적했다.

또한, 금천구청역에서 한내천을 가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장애인 뿐만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유모차를 이용하는 부모, 자전거 이용자들이 힘겹게 이용하고 있다”고 문제제기하며 장애인 당사자의권리와 욕구에 관심을 가질 것을 요구했다.

황백남 자립센터장은 총평에서 “전체적으로 보면 연차별로 ‘장애’관련한 발언이 늘어나고 있다. 세세하게 바라보고 있는 것 같고 장애인이동권, 접근권, 고용, 보건, 의료분야의 발언이 제일 많았다.”고 분석했다. 덧붙여 “장애인 복지의 문제는 의지의 문제다.  구청은 장애인정책, 복지정책에 있어 일상의 지점, 사회의 지점, 생활의 지점에 부합되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구체성을 가지고 지적하고, 실현시키려는 의회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2013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 행사

금천구 자원봉사센터가 지난 5일 1시30분 금나래아트홀에서 개최한 '2013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 행사'에서 우수자원봉사자 표창을 받은 봉사자들이 차성수 구청장과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12월 5일은 1985년 UN에서 지정한 ‘세계자원봉사자의 날’이다. 이날은 자원봉사자들의 노력에 감사하고 사회를 위한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을 알리는 날이다. 

금천구 자원봉사센터는 지난 5일 1시30분 금나래아트홀에서 ‘2013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 행사’를 차성수 구청장, 김두성 구의회 의장을 비롯한 구의원들과 자원봉사캠프 및 동아리 회원, 자원봉사자들 약 5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풍선아트 무대장식을 비롯해 축하공연 등을 외부에 위탁하지 않고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만들어 눈길을 끌었다.

행사장 입구에는 지난 1년여 동안 자원봉사 동아리 및 자원봉사캠프의 활동상을 전시하고, 위시트리를 배치해 자원봉사자들의 꿈과 소원을 달았다. 또, 서금요법, 풍선아트, 친환경수세미, EM활성액 등의 재능나눔 체험부스 운영과 천사날개를 배경으로한 포토존을 설치해 기념촬영공간을 마련했다.

1부 행사는 자원봉사자들의 다양한 공연으로 진행됐다. 식전공연으로 아코사랑의 아코디연 연주를 시작으로 다문화팀의 공연이 이어졌다. 다문화팀은 관내 청소년들에게 다문화 맞춤형 학습 자원봉사를 받았던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감사의 의미로 댄스공연을 준비해 훈훈한 마음을 전했다. 

2부 행사에서는 자원봉사 활동영상과 우수자원봉사자 표창 및 감사패 수여, 구청장 기념사와 김두성 구의회 의장의 축사, 자원봉사 활동보고 순으로 진행됐다.

우수자원봉사 표창은 연간 300시간 이상 자원봉사를 한 봉사자와 여러 수요처에서 추천한 봉사자에 대한 심사를 거쳐 선정한 79명에게 수여됐다. 또 단체부문에는 금천아코사랑, 신일교회 다문화팀, 금천구 치과의사회, 한국화교지공회, 민들레모임, 금천구해피워킹클럽, 새마을지도자금천구협의회 등 7개 단체에 수여됐다. 더불어 (사)함께하는 사랑밭, (주)코멕스산업, (주)엠게임에게 자원봉사활동 지원에 대한 감사패가 전달됐다.

차성수 구청장은 기념사에서 “지난 1년 동안 경제가 어렵고 힘들었음에도 자원봉사를 통해 우리금천을 밝고 아름답고, 정말 힘 있게 만들어주신 자원봉사자여러분들 수고 많았다”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어 “자원봉사는 이웃에게 희망을 주고, 자원봉사를 하는 스스로도 자기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가장 소중한 활동”이라며, “이 소중한 활동이 우리사회에서 더욱더 인정받고, 대우받고, 자원봉사 하시는 한분 한분이 우리사회 귀한 등불로 세상을 밝히는 작은 등대로 기억되고 대우받는 세상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두성 구의회 의장은 축사에서 “구의원으로서 자원봉사 하시는 분들처럼 우리 금천구민을 위해서 얼마나 봉사를 하고 살았나 새삼스런 자책을 느꼈다”며 “금천구를 위해서 여러분 뒤에서 구민을 위해 봉사할 것”을 약속했다.

남현숙 기자

kasizzang@naver.com

금천교육복지센터, 강연 및 토론회 연이어 개최

금천교육복지지원센터는 지난 13일 금천구 평생학습관에서 '함께여는 청소년 학교' 오일화 대표와 조주현 청소년 성장센터 '이음과 배움' 대표를 초청해 아동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 양상과 지원방안을 주제(성남시 사례 발표)로 강연회를 진행하였다.

조주현 대표는 강연을 통해 2011년 금천구 소재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이 일년에 300명 수준이며, 실업계고가 보통 더 높고 금천구에는 실업계고가 동일전산디자인고 밖에 없어 다른 구로 주로 가는 점을 고려하면, 학교밖 청소년은 한해 400명 가까이 나 된다고 한다.  통계를 13세 이상 21세 이하로 확대하면 약 1,200여명의 청소년들이 기존의 교육으로부터 소외되 있을만큼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금천구 에서도 학교밖 청소년에 대한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

금천교육복지센터는 13일 강연회에 이어 20일 오전 10시에는 독산3동 꿈꾸는 나무(구 독산3동 주민센터)에서 지역기반 교육복지 증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한다.

금천구 교육복지에 참여하는 주체들이 2014년 사업을 심도깊게 논의하는 자리라 기대된다.


최석희 기자

 nan7615@gmail.com

독산1동분소, 시흥2동, 시흥3동 어린이집 신축공사 설계공모 나서


금천구는 지난 11월27일부터 독산1동 분소, 시흥2동, 시흥3동 등 3곳의 어린이집 신축공사의 신축설계공모 신청에 들어갔다.

서울시의 1동 2개 이상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정책과 무상보육 확대에 따른 국공립 어린이집 수요 충족을 위해 3곳의 어린이집이 각각 신축 설계에 들어간다. 3곳의 어린이집은 2014년 9월 개원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되며, 개원하면 250여명의 신규원아를 모집할 수 있다. 신축예산의 총 비용은 시비90% 구비10%로 충당된다. 

한편, 이번 설계공모는 건축설계 지명초청공모방식으로 진행된다.

지명초청 공모방식이란 ‘창의적인 설계안을 제출한 설계자를 선정함으로써 보다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건물이 건립되도록 하여 건축문화의 발전과 공공에 이바지함에 그 목적’으로 한다. 건축과 담당자는 “서울시가 올해 6월 신축건물 중 1억원 미만일 경우에는 공공건축가로 지명공모를 할 것의 지침을 내렸다”고 밝혔다.

공공 건축가제도는 2012년 2월부터 서울시가 시행하고 있는 제도로 ‘공공건축물과 정비사업의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건축전문가를 투입해 공공성을 높이고 도시경관과 어울리는 건축문화를 이끌겠다는 취지[네이버 지식백과-공공건축가제도]’로 시작된 제도다.

이에 따라 공모참여자는 12월16일 공모작을 제출하고 19일 심사 및 당선작을 선정한다.

이후 당선작에게 우선 설계권이 부여되며 우수작 1점(100만원), 가작 2점(각50만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건축과 담당자는 “서울시에서 건축의 질을 높이기 위해 공공건축가 제도를 도입했다. 3곳의 설계비는 한 건당 5천만원 이하다. 상금이 작더라도 유능한 사람들의 경쟁을 유도하고 잘된 것을 심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독산1동 대상 부지>

<시흥5동 대상 부지>

<시흥3동 대상 부지>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미국 휴스턴 난곡장학회, 

난곡중학교 5년간 장학금 지급


미국 텍사스주(州) 휴스턴 교민들이 난곡중학교에 꾸준히 장학금을 주고 있어 주변을 훈훈하게 하고있다.

난곡중학교에 따르면 지난 9월 2일, 휴스턴 난곡장학회 21명 회원을 대표해 김명용 회장이  장학금 후원학교인 난곡 중학교를 방문해 노현구 교장으로부터 장학금 지급에 관한 현황을 듣고 학생들을 격려했다고 밝혔다. 이는 휴스턴 코리아저널에 사실이 보도되면서 세간에 알려졌다.

기사에 따르면 김명용 회장은 “난곡 장학회 21명 회원들이 후원하는 학생들을 볼 때마다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며 꿈을 향해 무럭무럭 성장해 주어 기쁘고 고맙다”면서 “열악한 환경의 난곡 중학교에 자원한 노현구 교장의 열정과 교직원들의 노고에도 감사하다”고 격려했다.

노현구 교장도 “장학회 회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를 전하고 휴스턴난곡장학회의 후원으로 학교가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고 인사하며 그린스쿨 지정 및 학교리모델링, 체육관 건립을 소개하며 총 51명의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했다고 전했다.

휴스턴 난곡장학회는 2009년부터 매달 800불(2013년부터)의 장학금을 후원해 현재까지 400명에 가까운 학생들에게 장학금 혜택을 주고 있다. 휴스턴 난곡장학회는 김명용(회장),이은창, 양본갑, 김정웅, 승백, 이인규, 이범영, 신현홍, 김정대, 이경호, 최병철, 킴벌리, 최종우, 차석준, 김미숙, 김학윤, 이한열, 백신기, 이제인, 배승원, 황현민 회원 2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곡중학교 교사에 따르면 “원래 학교 교사들의 장학금후원회인 난곡교사장학회가 만들어져 장학금을 주었는데 그 사실이 방송에 나간 후 휴스턴 교민들이 연락을 해왔다. 아무 연고는 없지만 조국의 어려운 학생이라는 것만으로 장학금을 보내주게 되어 지금까지 5년동안 거르지 않고 보내주고 있다. 현재도 난곡교사장학회와 휴스턴 교민장학회에서 꾸준히 장학금이 지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문용린 교육감 혁신학교 및 혁신교육지구 예산 삭감

금천·구로 교육사회단체 20일 서울교육청 앞 기자회견 개최 및 항의서한 전달





남부혁신교육지구 및 서울형 혁신학교 지원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11월20일 서울교육청 앞에서 개최됐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남부교육시민연대, 금천교육네트워크, 참교육학부모회 서울지부, 평등학부모회, 서울형혁신학교학부모네트워크, 전교조 서울지부, 전교조 지키기 구로·금천 공동대책위원회 등이 참석했다. 

기자회견은 문용린 교육감이 혁신학교 예산을 2억에서 8천만원으로 대폭 삭감하고  남부(구로금천)혁신교육지구 예산도 70~80%를 삭감한다는 소식으로 촉발됐다.

참여자들은 “백년지대계인 교육을 정쟁의 도구로 이용하지 말 것”을 이야기하며, 혁신학교 예산삭감에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금천구, 구로구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남부혁신교육지구는  '학급당 학생수 25명 감축', '협력교사제 운영' 등이 핵심사업이다. 

지난 10월 금천, 구로구 소재 초중고학교에  초등학교 41개교, 중학교 22개교 실무자 983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결과, '학급당 학생수 25명 감축'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학력부진학생들 지도를 위한 협력교사제 운영'에 91%가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추가 배치'한 것에 대해서도 96%가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바있다. 

기자회견 후 문용린 서울교육감에게 혁신교육지구를 유지해 줄 것을 요청하는 약 1,500여명의 주민서명과 혁신교육정책 및 교육지구를 유지할 것에 대한 요청사항을 전달했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곽노현 표 “학생인권조례”대법원 승소

교육부, 헌법재판소에 이어 두 번이나 패소


28일 대법원 2부(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28일 교육부장관이 ‘서울시 학생인권조례가 무효’라며 서울시의회를 상대로 낸 제정조례안의결 무효확인청구 소송을 재의요구 기간이 지났다며 각하했다. 곽노현 표 서울시 학생인권 조례가 끝내 승소한 셈이다.

 대법원은 판결문에서 “교육·학예에 관한 시·도의회의 의결사항에 대한 교육감의 재의요구 권한과 원고의 재의요구 요청 권한은 별개의 독립된 권한”이라고 지적한 뒤 “교육부장관의 재의요구 요청기간은 교육감의 재의요구기간과 마찬가지로 시도의회의 의결사항을 이송 받은 날 부터 20일 이내”라고 밝혔다.

 “교육부장관이 시·도의회의 의결사항에 대해 대법원에 직접 제소하기 위해서는 교육감이 의결사항을 이송 받은 날부터 20일 이내에 재의를 요구할 것을 교육감에게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감이 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로 한정 된다”고 지적했다.

교육부 장관은 “서울시교육감(이대영 권한대행)이 2011년 12월 20일 조례안을 이송받은 후 20일 이내인 2012년 1월 9일 서울시의회에 재의요구를 했다가 (업무에 복귀한 곽노현 교육감이) 이를 철회했더라도, 자신의 독립된 권한인 재의요구 요청을 하지 못할 법률상 장애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교육부를 지적했다. 교육부 장관은 재의요구 기간 20일이 지난 1월 20에서야 서울시교육감에 재의 요구를 요청해, 결국 절차를 지키지 못해 각하 판정을 받았다.

헌법재판소도 지난 9월 26일 교육부장관이 서울시교육감을 상대로 낸 교육감 조례안 재의요구 철회 권한쟁의 심판사건(2012헌라1)에서 "교육부장관이 권한행사 기간이 지난 뒤인 2012년 1월 20일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에게 조례안에 대한 재의요구를 요청한 것은 이미 소멸한 권한을 행사한 것으로 부적법하다"고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판단 한 바 있다.

최석희 기자 

nan7615@gmail.com



전국노점상총연합 금천지역연합회가 28일 금천구청역 앞에서 ‘함께사는 세상 독거노인 무료급식’을 실시했다. 관내 노점상 30여명은 추운날씨에도 불구하고 금천구 독거 노인에게 따뜻한 점심 한끼를 대접하고자 아침부터 나섰다. 

조연숙 사무국장은 “노점을 하면 지역주민들에게 불편을 주기도 하고 도움받기도 한다. 또 지역주민들 이계시기 때문에 먹고사는 것이다. 작게나마 지역분들에게 저희 마음을 보여드리고 감사하다는 인사를 표현하기 위해서 시작했다.” 밝혔다.

독산동에서 노점을 하면서 봉사에 참여한 최복순씨는 “조합차원에서 이렇게 하는 것이 너무 좋고 행복하다. 앞으로도 꾸준히 이 자리에 나올 것”이라고 참여 소감을 전했다.

홍성훈 지회장은 행사에 앞서 “처음하는 행사라 준비도 많이 부족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만큼 준비 해서 대접할 것이다. 노점은 지역주민들과 함께 호흡할 수 밖에 없다. 힘들고 어렵지만 지역사회를 위해서 꾸준하게 무료급식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노련 금천지역연합회는 5월5일 금천구 어린이날 행사 ‘친구야 놀자’에도 꾸준히 참여하는 등 지역사회공헌활동에 나서왔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금천구 학생이 부르는 '레미제라블'

2014년 2월 22일 금나라아트홀 공연

공개오디션 갖고 본격 연습에 들어가





금천구 고등학생들이 만드는 영어 라이센스 공연 ‘레미제라블’이 공개오디션을 마치고 본격적인 훈련에 들어갔다. 

금천구는 세계 4대 뮤지컬 중의 하나인 레미제라블 스쿨 에디션(school edition) 라이센스 영어공연이 금천구 관내 중·고생들에 의해 국내 최초로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1월 18일 구청 대강당에서 연 관계자 및 학생, 학부모, 학교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레미제라블 스쿨 에디션’ 영어공연에 대한 설명회와 갈라 콘서트가 개최됐으며, 23·24일 이틀간  공개오디션을 개최해 배우 및 스텝을 선발했다.  1차 오디션은 자유곡 심사, 2차 오디션으로 연기심사 및 면접을 진행했다. 

오디션 지원자격은 ▲ 금천구에 주소를 둔 고등학생 및 중학교 3학생 ▲ 뮤지컬, 노래, 연기에 관심이 있고 도전해 보고싶은 열정이 있는 자 ▲ 겨울방학 기간 중 집중적인 연습에 참여 가능한 학생이었다. 선발된 학생들은 겨울방학 기간 집중 연습을 진행한 후 2014년 2월22일 금나래아트홀에서 공연을 올린다.

금천뮤지컬스쿨(교장 원성묵)에 따르면 레미제라블 스쿨 에디션은 레미제라블을 제작한 영국 카메론 매킨토시(Cameron Mackintosh)사와 저작권을 관리하는 미국 MTI(Music Theatre International)사가 전 세계 학생들의 레미제라블 공연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비영리 라이선스이며, 2013년 10월 31일자로 국내 최초 라이선스 계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을 위해 (주)한국국제교육(대표 조상훈)이 기획 · 연출하고, 금천구(구청장 차성수)와 뮤지컬 레미제라블을 한국어로 초연했던 (주)레미제라블코리아(대표 정지원)가 후원한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새마을부녀회 사랑의 김장담그기

지난 6일 금천구청 광장에서 새마을부녀회에서 주최하는 '사랑의 김장나누기'행사에서 한 할머니가 보건소에 다녀오는 길에 새마을 부녀회원들이 김장준비를 하는 것을 보고 함께 돕고있다.

지난 6일부터 7일까지 이틀동안 금천구 새마을부녀회(정순자 회장)회원 200여명은 배추 약 3,000포기와 무 등 기타 부재료를 농촌과 직거래로 구입해 사랑의 김장 나누기 행사를 실시했다.

지난 6일 구청앞 광장에는 새마을부녀회 회원들이 모여 다음날 버무릴 김장 속 재료 손질에 분주한 모습이다. 아침부터 조금씩 흩날리는 비와 추위로 몇몇의 사람들은 비닐을 뒤집어 쓴 채로 쪽파를 다듬는 모습도 눈에 뛴다. 다듬은 쪽파와 무 등 김장 속재료를 씻기위해 살수차 까지 동원됐다. 또 한쪽에서는 수천개의 무를 쌓아놓고 채칼로 무채를 썬다. 또 한 무리의 사람들은 갓이며 쪽파 등의 채소를 탁탁탁 소리를 내며 썰고 있다. 두 명의 중년 남성이 나란히 서서 갓을 써는 칼질이 예사 솜씨가 아니다. 알고 봤더니 오리고기집 사장님과 정육점 사장님 이라고 한다.

팔이 아파 보건소에 물리치료를 받고 돌아가던 길에 이들의 분주한 모습에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선 박산분(74세, 시흥1동) 할머니는 아픈 팔에도 불고하고 같이 채칼을 들고 무채 썰기를 도왔다. 박 할머니는 “나도 혼자 사는 독거노인인데 나 같은 사람 돕는다고 하는데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올해로 10여 년째 새마을 부녀회 김장담그기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는 임대영(58세, 남, 가산동)씨는 “내 부모가 드실 김치라고 생각하며 기쁜 마음으로 김장을 담그고 있다”며 “아무쪼록 얼마 안돼는 양이지만 맛있게 드시고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틀에 걸쳐 만들어진 750박스(박스당 10kg)의 김장김치는 지역의 저소득 한부모가정, 독거노인 등 600가구와 복지시설에 전달될 예정이다.


남현숙 기자

kasizzang@naver.com

흥일초·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 「생태텃밭교실 김장나눔」 행사 


지난 11월 13일 흥일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전교생이 학교 생태텃밭에서 가꾼 배추, 무 등을 이용해 김장담그기 행사를 열었다. 

“제가 키웠던 배추로 담그는 김장이라 더 뿌듯해요” 흥일초 4학년 박소연 양은 막 양념을 바른 배추 한쪽을 가져온 통에 담으며 자랑해 보였다. 

지난 13일 흥일초등학교(교장 나기영)는 전교생이 학교 생태텃밭과 남부여성발전센터의 상자텃밭에서 수확한 배추, 무 등을 이용해 ‘생태텃밭교실 김장나눔행사’를 실시했다. 이날 담근 김장김치는 전교생이 직접 담근 김치를 한쪽씩 집으로 가져가고 지역 내 복지단체나 시설에 기부했다.

또 부대행사로 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조은하 대표)에서 체험부스를 마련해 배추전 부치기, 삼색경단만들기, 지렁이분변토 탈취제 만들기, 우리종자 바로알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특히 한내텃밭에서 수확한 수수를 껌처럼 씹어보고, 강아지, 로켓 등을 만드는 체험 프로그램은 쉽게 접하기 어려운 체험으로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지난해 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가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에 제안한 ‘호미로 일구는 마을공동체’사업에 선정되면서 올 초부터 흥일초를 스쿨팜 시범학교로 지정하고 학교옥상에 생태텃밭을 조성해 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에서 생태텃밭 가꾸기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학년별로 2주에 1시간씩 생태수업을 받고 수업이 없을 경우 매일 아침 요일별로 학급별 당번을 정해 물주기 및 작물관리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생태텃밭 가꾸기 희망자를 모집해 학부모 35명으로 구성된 동아리를 조직하여 학생들과 함께 친환경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차성수 구청장은 “어린이 여러분들이 정성들여 만든 김장을 꼭 필요하신 분들에게 전해드리는 것 이니까, 성성껏 맛있게 잘 담가봅시다”라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나기영 교장은 “1년동안 우리 아이들이 그야말로 유기농으로 채소를 가꿨다. 아이들이 채소를 가꾸며 벌래들과 생활을 하면서 생태계가 얼마나 소중한가를 느꼈을 것이다. 또, 이 아이들이 커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더구나 오늘은 그동안 자신들이 가꾼 채소를 수확해 김장을 담가 이웃과 나눔으로서 나눔의 정신도 키울 수 있는 그야말로 온 몸과 마음으로 느끼는 산교육”이라고 말했다.


남현숙 기자

kasizzang@naver.com

금천구가 마을교사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22~4일까지 3일간 250명을 대상으로 금천마을교사 양성 직무연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금천구는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되면서 은행나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그 중 ‘4050세대 금천마을교사 인증사업을 벌여 17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번 직무연수교육의 대상은 이 프로그램의 수강생으로 이후 마을교사를 지향하는 사람들이다.

평생교육관 담당자는 마을교사가 되려면 8시간의 직무연수를 받아야 하는데 그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구는 수료생 280여명 중 면접과 강의시현심사를 통해 40%70~80명을 마을교사로 인증할 계획이다. 마을교사가 되면 겨울방학때 자치회관, 어린이집, 지역아동센터, 평생학습관, 학교, 복지관 등에서 12시간이 의무 재능기부 시간을 갖는다.

이 후 각 교육기관들이 마을교사를 해당 강사로 영입하는 과정을 통해 4050세대의 희망을 되찾자는 취지다.

기존 교육기관 안의 교육프로그램 강사와의 중복문제에 대해 평생교육팀 담당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이 기존 강의나 프로그램과 중복되는 것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사진제공 박현주>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좋은 일 하러왔어요~!”

독산고, 김장나눔행사 열어

 

 

독산고등학교 학부모회(회장 강지희)1123()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를 가졌다. 이 행사는 독산고 학부모회 임원 10명이 중심이 되어 준비되었고, 학생 10명과 교직원 5명도 함께 참여했다.

강지희 회장은 한부모 가족을 위해 김장을 하자고 이야기 했다. 아이들과 함께 어우려져 하니 아이들에게도 좋은 것 같고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자리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김홍섭 독산고 교장은 학부모회가 많은 사업을 하고 있고 어려운 이웃에 대한 관심이 높다. 고등학교에서 김장담그기 행사를 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이다. 3은 모두 입시에 매달려 있고, 나머지도 따라가고 있다. 그럼에도 이런 행사는 참 의미가 있고 재미난 행사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봉사활동에 참여한 남상범 학생(2학년)집이나 시골에서 김장을 해봤는데 학교에서 하는 것은 처음이다. 좋은일 하러 왔다.”고 소감을 밝혔다. 임수진 양(2학년) 역시 봉사활동을 통해서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준다는 것이 뜻 깊을 것 같아 참여했다. 고등학생이지만 주말에 나와서 잠깐하는 것이라서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봉사활동을 꾸준히 하고는 싶은데 기회가 많지는 않다.”고 말했다.

온가족이 함께 참여한 정시영 아버지는 딸이 학교를 다니는데 엄마가 도와달라고 해서 참여하게 됐다. 집에서도 요리를 종종해서 그런지 어렵지 않은 것 같다. 고등학생이 이런 일을 하기가 만만치 않겠지만 이런 것들이 다 추억에 남을 것 같다.”며 즐거워했다.

담궈진 김장은 가정형편이 어려운 독산고 학생 46명에게 나눠줬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11기로 재능과 끼를 키우는 금천초교

 

금천초등학교가 1120일 유지영 교장 및 전교생과 학부모들이 모인 가운데 ‘2013학년도 금천 한마음 11기 발표회를 가졌다.

유지영 교장은 올 한해 미래형 포본학교로 알차게 발전한 해였다. 꿈오름관(강당)이 개관했고 교뷱부 지정 오케스트라 운영학교로 지정돼어 지난 117일 첫 공연도 마쳤다. 영어 조기교육, 모든 어린이의 11악기 연주 등으로 꿈을 열어 가고 있다. 앞서가는 금천초로 자부심을 느낀다. 오늘 여러분들이 갈고 닦은 실력 마음껏 표현해달라고 인사말을 했다.

박 테레사 운영위원장은 애써준 선생님들에게 감사하다. 오늘은 여러분들 한명 한명이 주인공이다. 마음껏 끼를 펼쳐달라. 11기로 금천초 아이들이 멋지고 당당해졌다. 문화를 통해 마음이 따듯해지고 감성이 풍푸해져 어느새 우리 아이들이 달라졌다고 느낄 수 있다.”고 축사를 전했다.

2학년 아들의 공연의 응원을 온 노금석 씨는 오늘 처음 왔다. 아이들이 준비를 많이 한 것 같다. 오카리나를 연주하는데 연습한 것을 못 봤는데 잘할지..(웃음)”고 말했다.

6학년 딸의 공연을 보러온 이정하씨는 생각하는 것보다 잘하는 것 같다. 준비물도 스스로 챙기고단소로 대장금을 연주했다. 집에서 연습하길래 좋아하나 싶었더니 공연연습이었다.”며 놀라워하며 아기 같았는데 이제는 많이 큰 것 같다.”뿌듯해 했다.



<인사말을 하고 있는 유지영 교장>




공연에는 전교생이 모두 출연해 리코더,오카리나, 단소, 댄스, 풍물, 태권도공연를 비롯해 타악기 합주, 플루트, 클라리넷, 금관악기 중주와 오케스트라 합주가 연주됐다.

올해 ‘11기 발표회는 금천초교의 특색사업 중의 하나인 11기 기르기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시작 3회를 맞이했다. 김덕승 선생님은 우리학교는 꿈과 끼를 키우자는 것이 모토다. 아이들의 끼를 키우기 위해 11기를 발표했다. ‘1는 재능,기능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기능, 악기도 함께 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케스트라 공연은 ‘2013 교육부 오케스트라운영학교로 지정되어 올 처음으로 함께 진행했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세상에서 가장 쉬운 기부 '그린데이'

호암노인종합복지관, 잔반 없는 날 운영. 음식물쓰레기 90% 줄여


금천호암노인종합복지관(관장 조영표)은 11월 4일부터 경로식당에서 매주 1회 “세상에서 가장 쉬운 기부 ‘그린데이’ 잔반 없는 날”을 운영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본격 실천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사업 첫날인 11월 4일 평소 하루 평균 잔반량이 20kg에서 2kg으로 90%의 절감효과가 나왔다. 잔반량뿐만 아니라 음식재료와 요리를 위한 가스 및 전기요금 절약도 이뤄져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둔다는 평가다.

이를 위하여 복지관측은  매주 월요일 점심시간 전 “세상에서 가장 쉬운 기부 ‘그린데이’ 잔반 없는 날” 안내 공지 및 환경오염 등의 음식물 쓰레기가 주는 역효과에 대해 홍보하고 어르신들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이한영 복지사는 “그 전 부터의 캠패인으로 인식은 심어진 것 같다. 당일 어르신들이 식당에 줄을 서면 잔반 없는 날이라고 일일이 안내를 드렸다. 퇴식구에서도 다 비운 어르신들에게  이 후에도 남기지 말아달라고 감사인사를 드렸다.”고 말했다.

0 어르신은 “시행초기 먹는 것을 가지고 감시하는 것 같아서 불편하기도 했지만 음식물쓰레기가 나쁘다는 것을 홍보를 통해 알게 되어 매일매일 음식물을 남기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김00어르신은 “음식을 잔득 담아 먹지도 못하고 아까운 음식을 남겨 잔반통에 버리는 사람들을 보면 화가 난다. 진작 하지 그랬어” 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복지관측은 밝혔다.

조영표 금천호암노인종합복지관장은 “하루 50t 규모인 금천구 지역의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적극 협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복지관도 앞장서서 실천할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관측은 11월에는 주 1회씩, 12월에는 주2회 잔반 없는 날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지역교육단체·금천초교 학부모, '작은 학교가 희망' 즐거운 학교 만들기 나서


금천초는 시흥5동 호암산을 등에 지고 있는 작고 아담한 학교다. 한때 학년별로 5개 학급까지 있었는데, 지금은 한 학년에 2개 학급밖에 되지 않는다. 2013년 1학년 신입생은 33명이었는데, 현재는 29명에 불과하다. 

학급당 학생수가 적어서 아이들이 다니는데 좋은 학교 이지만, 일부 학부모들이 주소를 옮겨서 인근 학교로 아이들을 보낸다는 소문이다.

금천교육네트워크는 시민단체의 재능기부로 금천초를 가고싶은 학교, 즐거운 학교로 만들기 위해 금천초 학부모와 학교, 구청에 즐거운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올 해 9월부터 금천초 운영위원장, 녹색어머니회장, 학부모회장과 금천교육네트워크 회원 단체들이 모여서 “금천초를 즐거운 학교를 만드는데 합의”했다. 

이들은 경기도 작은 학교 살리기 경험을 함께 학습하고 금천초를 서울에서의 작은 학교 명문 초등학교 모델로 만들기 위해 교장과 금천구청을 찾아가 “작은학교가 희망이다 - 마을공동체와 함께 만드는 즐~거운 학교” 강연회를 제안해 11월25일과 28일 양일간 개최하기로 했다.

강의는 경기도 혁신학교인 조현초등학교 교장을 엮임하고, 경기도 교육청 장학관으로 일하다 올해 조안초 교장으로 부임하신 이중현 교장이 “작은학교가 희망이다”라는 주제로 25일 3시30분 금천초 꿈오름 강당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두 번째 강의는 우리나라 대안학교들의 모임인 대안교육연대의 대표이며, 제천과 산청 간디학교의 교장으로 일하셨던 양희찬 선생이 “마을공동체와 함께하는 즐~거운 학교 만들기”를 주제로 28일 오후 6시30분에 개최할 예정이다.

금천초 학부모들은 강의를 알리는 포스터를 직접 제작해서, 지역의 단체와 시설, 유치원에 직접 배포하는등, 학부모와 마을공동체의 참여로 즐거운 학교 만들기에 헌신적으로 일하고 있다.



최석희 기자

 nan7615@gmail.com

지난 1118일 평생학습도시 현판식이 진행됐다.

차성수 구청장, 김두성구의장 및 구의원, 최석희 금천교육네트워크, 서은주 생태포럼 대표, 김유선 산아래문화학교 대표, 정선자 아임우드 등 평생학습위원회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차성수 구청장 다른 곳은 10년 앞서 진행했는데 뒤늦게 결합해서 좋은 결과를 내온 것 같다. 남부여성발전센터 등 평생학습기관에서 많은 도움을 줘서 할 수 있었다. 평생학습기관을 통해 어제 몰랐던 일을 오늘 배워서 삶이 풍요로워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79일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한 ‘2013년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에서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됐다.현판은 교육부에서 제작해 헌정했다.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om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박은정)이 개관 7주년'귀함축제(귀중한 물건을 함께 나누는 축제)'를 지난 11월2일 금천구청 광장에서 에누리닷컴㈜과 공동주최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격비교 전문사이트 ‘에누리닷컴㈜’의 후원과 봉사자들이 지역주민들에게 귀한 물건(기증품, 아나바다물품 등)들을 나누고, 그 수익을 장애이웃들을 위해 사용하고자 개최됐다.

박은정 관장은 "올해 7주년을 맞이해서 에누리 탓컴(주)에서 후원해주고 봉사활동도 함께 해주고있다. 아침에 일어나 내리는 비를 보고 머리가 아득했는데 이렇게 많이 와주셔 너무나 감사하다"고 인사를 했다.

에누리닷컴 사내 봉사동아리 '나누리'의 정우영 회장은 "사내동아리가 있는데 한달에 한두번씩 오아시스 장애체험학습에 활동보조봉사를 하고 있다. 그런 인연이 바자회로 이어졌다. 회사의 전사원이 봉사에 참여하는 기회도 갖게 되서 더 기쁜 것 같다."고 인연을 소개했다.

 에누리닷컴㈜ 서홍철 대표이사는 “귀한 물건을 함께 나누는 축제의 기획의도가, 직원들의 정성이 담긴 가치있는 상품정보를 여러 소비자들과 나누고자 하는 우리 기업의 취지와 잘 어울려 참여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180여명의 직원 전원이 한마음으로 애장품을 기증하고, 직접 판매 및 행사 진행에 동참해 준 것이 뜻깊다.”고 전했다. 

바자회에서 물건을 구매한 김진권씨(시흥5동)은 “지나가다 플랑을 보고 왔다. 물건이 싸고 질이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봉사활도에 나선 에누리 닷컴(주)의 신입사원 임주혜씨는 “올해 입사하다보니 처음 이런 행사에 참여하는데 많은 주민들이 참여해줘서 뜻깊은 것 같다.”며 소감을 밝혔다.

귀함축제에는 먹거리장터, 아나바다물품판매, 에누리닷컴 지원들의 애장품등 의류, 신발, 도서, 문구 등 다양한 물품이 나와 새로운 주인들을 만났으며, 먹거리 장터와 체험부스도 함께 운영했다. 


<사진 제공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사진 제공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사진 제공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사진 제공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사진 제공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사진 제공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사진 제공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 >


이성호 기자

gcinnews@gmail.com

+ Recent posts